[포토多이슈] 3년 만의 지구촌 대축제

[포토多이슈] 3년 만의 지구촌 대축제

박지환 기자
박지환 기자
입력 2022-10-16 16:10
업데이트 2022-10-16 16: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포토多이슈]사진으로 다양한 이슈를 짚어보는 멀티미디어부의 연재물
이미지 확대
인파 가득한 이태원로
인파 가득한 이태원로 16일 오후 서울 용산구 이태원역 일대에서 열린 이태원지구촌축제를 찾은 시민들이 축제를 즐기고 있다. 2022.10.16 연합뉴스
16일 서울 용산구 이태원 관광특구 일대에서 ‘2022 이태원지구촌축제’가 열렸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약 3년 만에 개최된 가운데 이태원 관광특구 일대는 축제 시작 전부터 많은 인파들이 몰려 거리를 가득 채웠다.
이미지 확대
한강진 역에서부터 도로를 통제한 채 열린 본 행사에는 10개국 32개 팀 1000여 명이 참석하며 거리마다 세계음식 존ㆍ세계 문화대상ㆍDJ 파티, 먹거리, 버스킹 공연, 포토존 등 즐길 거리로 구성됐다. 출처 = 트위터 @Gohibum_
한강진 역에서부터 도로를 통제한 채 열린 본 행사에는 10개국 32개 팀 1000여 명이 참석하며 거리마다 세계음식 존ㆍ세계 문화대상ㆍDJ 파티, 먹거리, 버스킹 공연, 포토존 등 즐길 거리로 구성됐다. 출처 = 트위터 @Gohibum_
한강진 역에서부터 도로를 통제한 채 열린 본 행사에는 10개국 32개 팀 1000여 명이 참석하며 거리마다 세계음식 존ㆍ세계 문화대상ㆍDJ 파티, 먹거리, 버스킹 공연, 포토존 등 즐길 거리로 구성됐다.
이미지 확대
‘아이스크림 주세요’
‘아이스크림 주세요’ 16일 오후 서울 용산구 이태원역 일대에서 열린 이태원지구촌축제를 찾은 한 어린이가 아이스크림을 건네받고 있다. 2022.10.16 연합뉴스
행사를 찾은 시민들은 부스에서 판매하는 세계 전통음식을 먹으며 주위를 둘러보거나, 퍼레이드를 관람하면서 시간을 보냈다.
이미지 확대
16일 서울 용산구 이태원 관광특구 일대에서 열린‘2022 이태원지구촌축제’ 부스에서 판매하는 세계 전통음식. 출처 = 트위터 @everblue81
16일 서울 용산구 이태원 관광특구 일대에서 열린‘2022 이태원지구촌축제’ 부스에서 판매하는 세계 전통음식. 출처 = 트위터 @everblue81
각 나라의 대사관에서 운영 중인 부스를 찾아가면 각국의 전통의상을 입어보고 전통 장식품을 구매할 수도 있다.
이미지 확대
16일 서울 용산구 이태원 관광특구 일대에서 열린‘2022 이태원지구촌축제’부스에 진열된 전통 장식품. 출처 = 트위터 @everblue81
16일 서울 용산구 이태원 관광특구 일대에서 열린‘2022 이태원지구촌축제’부스에 진열된 전통 장식품. 출처 = 트위터 @everblue81
이태원역 남쪽 앤틱 가구 거리에는 가구 소품 경매가 진행되며 중세 유럽 의상을 입은 모델이 선사하는 이국적인 풍경을 즐길 수 있다.
15일 서울 이태원로, 보광로 일대에서 열린 2022 이태원 지구촌 축제 퍼레이드에서 각국 참가자들이 흥겹게 행진하고 있다. 2022.10.15. 뉴시스
15일 서울 이태원로, 보광로 일대에서 열린 2022 이태원 지구촌 축제 퍼레이드에서 각국 참가자들이 흥겹게 행진하고 있다. 2022.10.15.
뉴시스
이태원 지역의 활성화 및 관광객 유치를 위해 2002년 처음 개최된 이태원지구촌죽제는 매년 10월 이태원 일대에서 시행되고 있으며 서울의 대표적 축제로 올해로 19회째를 맞았다.
‘인도네시아의 매력 속으로’
‘인도네시아의 매력 속으로’ 15일 오후 서울 용산구 이태원관광특구 일대에서 열린 2022 이태원 지구촌축제에서 각국 의상을 입은 참가자들이 퍼레이드를 하고 있다. 축제 기간인 15∼16일 이태원관광특구 일대는 교통이 통제되고 주 무대와 공연구역·DJ박스·세계음식존·문화체험존 등이 마련된다. 2022.10.15 연합뉴스


박지환기자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