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회용컵 보증금제, 전국 시행 명문화하라”

“일회용컵 보증금제, 전국 시행 명문화하라”

김주연 기자
김주연 기자
입력 2022-10-18 18:02
업데이트 2022-10-19 01: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시민들, 용산 대통령실 앞서 집회

이미지 확대
18일 서울 용산구 전쟁기념관 앞에서 시민단체들이 ‘일회용컵 보증금제 무력화하는 윤석열 정부 규탄’ 기자회견을 진행하고 있다. 연합뉴스
18일 서울 용산구 전쟁기념관 앞에서 시민단체들이 ‘일회용컵 보증금제 무력화하는 윤석열 정부 규탄’ 기자회견을 진행하고 있다.
연합뉴스
18일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 앞에는 5000여개에 달하는 일회용컵 쓰레기가 산처럼 쌓였다. 일회용컵 보증금제 전국 시행을 촉구하는 시민 700여명이 전국 길거리에서 주운 1만 990여개 중 일부를 보낸 것이다.

시민들은 환경부와 프랜차이즈 기업, 윤석열 대통령의 얼굴 모양을 한 탈을 쓰고 정책 후퇴를 풍자하는 퍼포먼스를 벌였다. 이들은 일회용컵을 양손에 가득 들고 “환경은 무슨, 일단 대기업이 살아야지”, “일회용컵으로 돈 벌어야지, 쓰레기는 알아서 해”라고 적힌 종이 박스를 흔들었다.

서울환경연합 등 80여개 단체로 구성된 시민모임 ‘컵가디언즈’는 이날 기자회견을 열고 “환경부의 악의적 직무유기로 일회용컵 보증금제가 일방적으로 연기되고 대폭 축소됐다”면서 “대기업을 위해 정부가 환경 파괴에 앞장서는 게 아니냐”고 비판했다.

환경부는 프랜차이즈 가맹점에서 일회용컵에 음료를 사면 보증금 300원을 내고, 반납하면 돌려받는 제도를 지난 6월부터 전국에서 시행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오는 12월로 한 차례 연기했다가 결국 제주와 세종에서만 시행하기로 했다.

컵가디언즈는 자원재활용법을 개정해 전국 시행 일정을 명문화하고, 공공장소에 일회용컵 무인 회수기를 설치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김주연 기자
2022-10-19 8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