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년 임시역 ‘천안역사’ 증개축 하반기 착공

20년 임시역 ‘천안역사’ 증개축 하반기 착공

이종익 기자
이종익 기자
입력 2023-01-13 15:14
업데이트 2023-01-13 15: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문진석 의원 “2026 준공은 예정대로”
2002년 민자사업 좌초 후 현재까지 선상역사


이미지 확대
문진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13일 오전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문진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13일 오전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02년부터 임시 선상 역사로 남아 충남 천안의 숙원사업인 ‘천안역사 증·개축’ 사업 착공이 애초 올 상반기에서 하반기로 변경될 전망이다.

더불어민주당 문진석(천안갑) 의원은 12일 신년 기자간담회를 열고 지역 현안에 대한 국회 차원에서의 진행 상황을 설명했다.

문 의원은 이날 임시 역사 신세인 천안역사 증·개축 사업과 관련해 “올 상반기 약 500억 원 규모로 증개축 공사에 들어갈 예정이었지만, 설계 작업 지연으로 착공은 하반기 중에 이뤄질 전망”이라고 밝혔다.

이어 “설계는 지연됐지만, 관련 부서 등과 함께 협의를 거쳐 계획대로 2026년 준공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천안역
천안역 2002년 철도청에서 민자역사 사업이 좌초되면서 현재까지 임시 선상역사로 방치되고 있는 천안역사
13일 문 의원과 천안시 등에 따르면 천안역사 증·개축 사업은 증축 2953㎡, 개량 5207㎡, 존치 305㎡ 등 사업량 8465㎡ 규모로, 기본·실시설계가 완료되면 오는 2023년 역사 건립 착공에 들어가 2026년 준공을 목표로 한다.

천안역 증·개축 설계는 2018년 국가철도공단과 위·수탁 협약 체결후 2019년 8월 착수했으나, 타당성 재조사로 2020년 9월 중지됐다. 하지만 문 의원과 천안시는 국토교통부와 기획재정부, 국가철도공단 등과 협의를 거쳐 사업비 증액과 실시설계와 재개를 이끌었다.

천안역은 출발역 기준으로 승차 인원이 하루평균 1만300명으로 전국 264개 역사 중 10번째로 이용객이 많고, 하차 인원은 하루평균 1만2619명으로 8번째로 이용객이 높은 1급 역사다.

그러나 천안역은 지난 2002년 당시 철도청에서 민자역사 건립을 위해 3년 간 한시적으로 사용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후 민자역사 사업이 좌초되면서 현재까지 임시 선상역사로 방치되고 있다.
이종익 기자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