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싹 마른 대지…전국이 ‘화약고’

바싹 마른 대지…전국이 ‘화약고’

김정호 기자
김정호 기자
입력 2023-04-03 18:25
업데이트 2023-04-03 18: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충남 홍성 산불 이틀째, 헬기 18대 투입
대부분 시군 건조특보…긴장감 최고조

이미지 확대
홍성 산불 이틀째인 3일 오후 잠잠해졌던 불길이 강풍이 불어 순식간에 다시 거세지며, 진화작업에 투입된 소방대원이 필사적으로 불을 끄고 있다. 2023.4.3 연합뉴스
홍성 산불 이틀째인 3일 오후 잠잠해졌던 불길이 강풍이 불어 순식간에 다시 거세지며, 진화작업에 투입된 소방대원이 필사적으로 불을 끄고 있다. 2023.4.3 연합뉴스
충남을 비롯한 전국 곳곳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산불이 발생하고 있다. 오랫동안 비다운 비가 내리지 않아 대지가 바싹 마른 데다 바람까지 강하게 불어서다. 이 같은 현상을 부른 기후변화는 날로 심해져 산불이 갈수록 대형화할 것이라는 어두운 전망이 나오고 있다.

3일 산림당국에 따르면 전날 충남 홍성 서부면의 한 야산에서 발생한 산불로 인한 피해 영향 구역은 935㏊로 추정되고 있다. 산불 현장에는 헬기 18대와 인력 3500명이 투입됐지만 강한 바람으로 인해 진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인명 피해는 없으나, 민가 30동과 축사 3동, 창고 및 비닐하우스 27동, 사당 1동 등 시설 62동이 불에 탄 것으로 집계됐다. 주민 236명은 서부초등학교와 마을회관, 친척 집 등에 긴급 대피했다.

충남 금산 복수면 지량리에서 난 산불도 최소 20㏊의 산림을 태운 것으로 파악됐다.

앞선 지난달 26일 인천 마니산에서 발생한 산불은 축구장 30개 크기에 달하는 산림 22㏊가량을 태우고 30시간 만에 꺼졌다.

이처럼 전국이 언제 터질지 모르는 ‘화약고’로 변한 건 기후변화로 인해 건조하고 비가 오지 않은 날이 이어졌기 때문이다.

3일 현재 서울과 대전, 경기 성남·구리·광주, 충남 예산·계룡, 강원 원주·화천 등에 건조경보를 비롯해 전국 대부분 지역에 건조특보가 발령됐다. 경기 부천·포천, 강원 횡성·철원·홍천·춘천·양구·인제에는 12일째 건조주의보가 내려져 있다.

1월 1월부터 지난 1일까지 전국 누적 강수량은 84.4㎜로 평년 같은 기간(121.1㎜) 대비 67.3%에 그쳤다. 1973년 이후 9번째로 적은 수치다. 전국에서도 특히 충청권에 비가 적게 와 대전·세종·충남 누적 강수량(47.4㎜)은 평년의 45%이고, 충북은 평년의 절반 수준인 52.6㎜에 불과하다. 올해 들어 서울에 10㎜ 넘게 비가 온 날은 1월 13일(37.3㎜) 단 하루뿐이다. 서울을 비롯한 인천, 강원 철원·인제·춘천에 비가 내린 지는 20일이 지났다.

산불은 최근 수년간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산림청이 지난해 발표한 2020년 산불통계연보를 보면 2016년 391건이었던 산불 발생 건수는 2018년 497건으로 늘었고 2019년에는 620건으로 증가했다. 피해 면적도 2016년 378㏊에서 2018년 894㏊, 2019년 2920㏊로 크게 늘었다.

앞으로 전망도 암울하다. 유엔환경계획(UNEP)의 ‘2022년 글로벌 산불보고서’에 따르면 전체 산불 중 대형 산불 비율은 2030년 14%, 2050년 30%, 2100년 50%로 가파르게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이미지 확대
홍성 산불 이틀째인 3일 오후 잠잠해졌던 불길이 강풍이 불며 순식간에 다시 거세고 있다. 양곡리 불길이 강한 북서풍을 따라 이호리 능선으로 확대하고 있다. 불길이 확산하자 홍성군과 관계기관은 서부초 대피소로 대피한 주민들을 갈산면 갈산중학교로 이동시켰다. 2023.4.3  연합뉴스
홍성 산불 이틀째인 3일 오후 잠잠해졌던 불길이 강풍이 불며 순식간에 다시 거세고 있다. 양곡리 불길이 강한 북서풍을 따라 이호리 능선으로 확대하고 있다. 불길이 확산하자 홍성군과 관계기관은 서부초 대피소로 대피한 주민들을 갈산면 갈산중학교로 이동시켰다. 2023.4.3 연합뉴스
춘천 김정호·홍성 이종익 기자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