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 능가하는 초거대 AI 모델, 광주에서 만든다

‘챗GPT’ 능가하는 초거대 AI 모델, 광주에서 만든다

홍행기 기자
홍행기 기자
입력 2023-04-11 14:40
업데이트 2023-04-11 14: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광주서 국내 최초 엔비디아 초고성능 컴퓨팅자원 H100 제공
“AI스타트업, 광주로 모여라”…메모리 용량·데이터 속도 ↑
빅데이터 수집·분석·가공 가능한 ‘스토리지 서비스’ 도 지원
AI 기업 글로벌 시장 도약·AI 비즈니스 생태계 활성화 토대

이미지 확대
광주 첨단 3지구에 자리잡은 인공지능 중심 산업융합 집적단지의 핵심 시설인 AI 데이터센터 전경.  광주 인공지능산업융합사업단 제공.
광주 첨단 3지구에 자리잡은 인공지능 중심 산업융합 집적단지의 핵심 시설인 AI 데이터센터 전경. 광주 인공지능산업융합사업단 제공.
광주에서도 대화형 인공지능(AI) 챗봇 ‘챗GPT’를 뛰어넘는 초거대 AI 모델을 개발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국내 유수의 클라우드 기업에서 제공하는 컴퓨팅 자원보다 훨씬 더 큰 메모리 용량과 빠른 데이터 처리 속도를 자랑하는 엔비디아의 ‘H100’이 광주에서 국내 최초로 제공되는데 따른 것이다. 앞으로는 대기업뿐만 아니라 스타트업들도 이를 활용해 복잡한 AI 모델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인공지능산업융합사업단은 11일 광주 첨단 3지구 ‘인공지능 중심 산업융합 집적단지’의 핵심시설인 AI 데이터센터에서 올해 하반기부터 글로벌 기업 엔비디아에서 출시한 초고성능 컴퓨팅 자원인 H100을 국내 최초로 제공한다고 밝혔다.

엔비디아의 H100은 ‘챗 GPT’(4.0) 개발에 활용된 컴퓨팅 자원보다 3배 이상 높은 연산능력을 지니고 있다.

초거대 AI 모델은 엄청난 양의 데이터와 강력한 컴퓨팅 자원이 필요한 대규모 인공지능 모델로, 복잡하고 정교한 패턴을 학습할 수 있으며 높은 정확도와 성능을 보여준다.

인공지능산업융합사업단은 우선 이달부터 AI 분야의 기업과 대학, 연구소 등 100여 개소를 대상으로 AI 학습에 필요한 초고성능 컴퓨팅 자원인 엔비디아의 A100 최신 버전을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해 제공한다.

갈수록 AI 모델이 복잡해지고 AI 개발에 필요한 데이터의 양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H100과 최신 A100은 메모리 용량과 데이터 처리 속도를 높인 초고성능 컴퓨팅 자원이다. 특히 엔비디아의 H100(67 테라플롭스)은 A100(19.5 테라플롭스)에 비해 3배 이상 높은 연산량을 제공한다. 1테라플롭스(TF)는 1초에 1조 개의 계산을 할 수 있는 속도다.

MS의 챗GPT, 구글의 바드 등 초거대 AI 모델을 활용한 AI 서비스가 확산되면서 초고성능 컴퓨팅 자원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 상황 속에서, 올해 H100이 제공되면 국내 AI 기업의 초거대 AI 모델 개발을 앞당기고 글로벌 경쟁력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인공지능산업융합사업단은 지난해 12월 기업 모집을 통해 선정된 121개 기업들에게 9.3 PF (페타플롭스) 규모의 AI 데이터센터 컴퓨팅 자원을 제공 중이다. 1PF는 1초에 1000조 개의 계산을 할 수 있는 속도다. 사업단은 또, AI 기업들이 확보한 빅데이터를 수집·분석·가공할 수 있는 단독 스토리지 서비스와 인공지능 학습 후 상용화 전 단계의 테스트를 지원하는 상용화 수준의 서비스도 제공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AI 데이터 가공에서부터 인공지능 모델의 학습, 상용화 전 단계의 테스트까지 모두 가능하게 됨에 따라 AI 비즈니스가 활성화될 것으로 보인다.

AI 데이터센터의 컴퓨팅 자원을 추가로 제공 받기 원하는 AI 기업들은 ‘AI 통합 지원 서비스 플랫폼 (www.atops.or.kr)’ 을 통해 신청·접수할 수 있다.

김준하 인공지능산업융합사업단장은 “이달부터 제공하는 초고성능 컴퓨팅 자원인 최신 A100을 활용해 AI 스타트업들도 누구나 복잡한 AI 모델 개발을 할 수 있게 됐다”면서 “특히 올해 하반기에 국내 최초로 제공되는 H100은 최신 A100 보다도 3배 높은 연산량을 제공하는 컴퓨팅 자원으로, 국내 AI 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AI 비즈니스 생태계 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한편 광주 첨단 3지구 인공지능 중심 산업융합 집적단지 핵심 시설인 AI 데이터센터는 컴퓨팅 시스템 설치, 시험 운영을 거쳐 총 구축 용량인 88.5페타플롭스(PF)의 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오는 10월 문을 열 예정이다.
광주 홍행기 기자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