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온난화, 세계 평균보다 빨랐다…경제손실 3조 7000억원

한국 온난화, 세계 평균보다 빨랐다…경제손실 3조 7000억원

윤예림, 신진호 기자
입력 2023-04-18 13:53
업데이트 2023-04-18 14: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환경부 ‘대한민국 기후변화 적응 보고서’ 공개
세계 평균기온 1.5도 오를 때 한국은 1.6도 올라

이미지 확대
전국적으로 봄비가 내린 23일 대구 달서구 이월드에서 벚꽃과 개나리가 만개해 봄 마중을 하고 있다. 2023.3.23 연합뉴스
전국적으로 봄비가 내린 23일 대구 달서구 이월드에서 벚꽃과 개나리가 만개해 봄 마중을 하고 있다.
2023.3.23 연합뉴스
한국의 온난화 속도가 세계 평균보다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는 ‘대한민국 기후변화 적응 보고서’를 19일 기후위기적응센터 홈페이지(kaccc.kei.re.kr)에 공개한다고 18일 밝혔다.

보고서는 유엔기후변화협약 사무국 제출 권고에 따라 작성됐다.

현재까지 영국과 호주 등 50개국이 기후변화 적응 보고서를 제출했다. 이 보고서들은 2015년 체결된 파리협정을 얼마나 이행 중인지 확인하는 ‘전 지구적 이행 점검’(GST) 기본자료로 활용된다.

보고서에 따르면 1912년부터 2020년까지 109년간 한국 연평균기온 상승 폭은 1.6도로 세계 평균(1.09도)보다 컸다.

표층 수온은 1968~2017년 50년간 1.23도 올라 상승 폭이 세계 평균(0.48도)의 2.6배에 달했다.

1989~2018년 연간 해수면 상승 폭은 2.97㎜로 세계 평균(1.7㎜)보다 1.2㎜ 컸다.

보고서는 기온 등의 상승과 함께 “폭우와 폭염, 겨울철 이상고온, 한파의 강도가 강해지고 빈번해지고 있다”면서 “2012~2021년 10년간 기후변화와 연관된 자연재해로 인한 경제 손실이 3조 7000억원이며 복구 비용은 손실의 2~3배에 달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대한민국은 기후변화의 위협을 심각한 사안으로 보고 적응을 추진하기 위한 종합적인 체계를 마련해 추진 중이다”라면서 “2010년 녹색성장법을 제정하면서 기후변화 적응을 처음 법제화했고 현재는 2021년 제정된 탄소중립기본법에 따라 기후변화 적응책을 종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고 전했다.

구체적인 기후변화 적응책으로는 2020년 마련한 ‘제3차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을 소개했다.

기후변화 적응과 관련한 국제협력을 강화하겠다는 내용도 담겼다.

보고서는 “대한민국은 녹색기후기금(GCF) 유치국으로서 국제사회 기후변화 적응을 지원해왔다”면서 “제27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를 계기로 열린 적응기금 고위급 공여 대화에서 2023~2025년 36억원 신규 공여를 발표한 바 있다”고 밝혔다.

또한 “대한민국은 기후·녹색 ODA(공적개발원조) 비율을 2025년까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개발원조위원회 평균 이상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했다.
윤예림 인턴기자·신진호 기자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