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기연구원에 국내 최초 초고압 직류송전 시험인증센터 준공

한국전기연구원에 국내 최초 초고압 직류송전 시험인증센터 준공

강원식 기자
입력 2023-04-26 17:08
업데이트 2023-04-26 17: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산업부 공모사업으로 198억 5000만원 투입.
초고압 직류송전 기기 성능 검증 국내서 가능.
시험인증 위해 해외로 가는 불편 해소.

초고압 직류송전(HVDC, High Voltage Direct Current) 분야 전력기기 성능을 시험·검증하는 국제공인 시험인증센터가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경남 창원에 구축됐다. 이에 따라 관련 전력기기를 생산하는 국내 기업들이 해외까지 나가지 않고 시험인증을 받을 수 있게 됐다.
이미지 확대
초고압 직류송전 시험인프라 준공식. 경남도 제공
초고압 직류송전 시험인프라 준공식. 경남도 제공
한국전기연구원(KERI)과 경남도, 창원시는 26일 창원시 성산구 성주동 한국전기연구원 창원 본원에서 국내 최초 초고압 직류송전 국제공인 시험인증 기반구축 준공식을 열었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2020년 6월 산업통상자원부 공모사업에 선정돼 추진됐다.

산업부와 경남도, 창원시, 전기연구원은 총사업비 198억 5000만원(국비 96억 6000만원, 도비 17억 5000만원, 창원시 28억원, 전기연 56억 4000만원)을 들여 1만 8622㎡(5643평) 부지에 인프라를 구축하는 사업을 3년만에 마무리했다.

초고압 직류송전은 발전소에서 생산된 대용량의 전력을 고압 직류로 변환해 먼 거리까지 전송하는 기술로 전력 공급 과정에서 손실이 적어 차세대 전력송전기술로 꼽힌다. 장거리 대용량 송전에 효율이 뛰어나고 안정성이 있어 기존 교류송전에 수반되는 대규모 송전탑 건립과 전자파 방출 유해성, 지중화 한계인 거리 등의 난제를 해결할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효성중공업을 비롯한 전기분야 기업들이 직류송전 시장 확대에 발맞춰 초고압 직류송전 전력기기 생산활동 등에 활발하게 참여하고 있지만, 그동안 국내에 마땅한 시험인증기관이 없어 네덜란드 등 해외에 있는 국제공인기관을 이용해야 해 경제적 부담과 시간적 불편이 많았다.

경남도와 창원시, 한국전기연구원은 국내 시험인증 기반 구축에 따라 국내 기업들의 해외 기관 이용에 따른 경제적 부담과 시간적 불편 해소와 함께 핵심 설계기술 해외 유출 우려도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창원시는 국내 관련 기업 300여곳이 이번 초고압 직류송전 전력기기 국제공인 시험인증센터 준공으로 직·간접적 수혜를 입을 것으로 전망했다.

경남도는 최근 정부가 동해안에서 생산된 전력을 수도권에 대용량으로 보내기 위해 초고압 직류송전 방식을 채택해 국가 핵심 전력인프라 사업을 추진하는 상황에서 이번에 준공된 시험인증 인프라가 국가 에너지 정책 실현의 밑거름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했다.

전기연구원은 장비 시운전 등을 거쳐 올해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시험인증 업무를 시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남균 전기연구원 원장은 “이번 초고압 직류송전 시험인프라 사업 준공에 따른 국내 전력기기 분야에 미치는 경제적·산업적 파급효과가 매우 클 것이다”고 말했다.

홍남표 창원시장은 “창원지역에 초고압 직류송전 관련 산업 생태계가 확대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창원 강원식 기자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