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동구, 민간주도 일자리 창출로 고용 패러다임 바꾼다

서울 강동구, 민간주도 일자리 창출로 고용 패러다임 바꾼다

이두걸 기자
이두걸 기자
입력 2023-04-28 09:54
업데이트 2023-04-28 16: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올해부터 고덕비즈밸리 입주 본격화
2026년까지 일자리 5만개 창출 목표

이미지 확대
지난 24일 고덕비즈밸리 현장 모습. 왼쪽으로 올해 말 완공 예정인 가칭 고덕대교가 한강을 가로지르고 있다. 강동구 제공
지난 24일 고덕비즈밸리 현장 모습. 왼쪽으로 올해 말 완공 예정인 가칭 고덕대교가 한강을 가로지르고 있다. 강동구 제공
서울 강동구는 재정지원 중심의 기존 ‘공공’ 일자리 정책에서 기업 유치, 미래산업 육성, 인재 양성 등을 통한 ‘민간’ 일자리 창출로 고용 패러다임을 바꾼다고 28일 밝혔다.

구는 지난해 민선 8기 ‘일자리대책 종합계획’(2023~2026)을 수립하고, 올해 3월 구체적인 실천과제를 담아 ‘2023년도 일자리대책 연차별 세부계획’을 내놨다.

구는 올해부터 고덕비즈밸리 내 기업 입주가 본격화됨에 따라 일자리대책 비전으로 ‘기업하기 좋은, 일하기 좋은 도시 강동 실현’을 제시했다.

이에 3대 핵심전략, 9개 실천과제를 통해 향후 4년간 양질의 일자리 5만개를 창출할 계획이다. 올해에만 1만 2000여개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게 목표다. 세부 목표와 구체적인 일자리 대책은 ‘지역일자리 목표 공시제’에 따라 구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고덕비즈밸리는 고덕동 345번지 일대에 23만 4523㎡ 규모로 조성되는 구 최대의 상업업무복합단지이다. 유통·판매 복합시설, 업무시설, R&D센터, 공공청사 등이 입주하며, 강동구를 동부수도권 경제 중심지로 이끌 핵심 동력이다. 올해 14개 기업이 입주할 예정이다.

이에 구는 고덕비즈밸리를 통한 고용 패러다임을 전환해 재정지원 중심의 공공일자리 창출 정책에서 민간일자리 창출 방식으로 바꿀 계획이다.

3대 세부 전략은 ▲대규모 일자리 창출 인프라 구축 ▲지역경제 활성화를 통한 일자리 창출 ▲청년, 여성 등 계층별 일자리 창출 지원 등이다. 올해는 고덕비즈밸리 기업 입주에 대비해 일자리 기반을 조성하는 데에 힘을 실는다.

구는 고덕비즈밸리 입주기업들과 관내 소재한 청년취업사관학교, 강동여성인력개발센터 등과 연계해 맞춤형 취업연계 서비스를 지원한다. 입주기업 실무협의체도 운영해 구민 우선 채용을 협의하거나 기업들의 건의사항을 청취하는 등 소통 채널을 강화할 계획이다.

이밖에도 ▲중소상공인 육성·지원 ▲공공분야 일자리 창출 활성화 ▲청년·여성·중장년·노인 등 계층별 맞춤형 직업훈련 및 일자리 연계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 일자리 확대 등을 통해 구민들의 일자리 복지를 제고한다.

나아가 구는 베드타운에서 자족도시로의 면모를 갖추고 동부수도권 경제 중심도시로 도약하는 것이 최종 목표이다.

이수희 강동구청장은 “고덕비즈밸리를 통해 강동의 경제지도가 바뀔 것”이라며 “구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양질의 일자리 제공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두걸 기자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