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자생생물 12% 국내학자가 명명…20년새 4배 증가

국내 자생생물 12% 국내학자가 명명…20년새 4배 증가

박승기 기자
박승기 기자
입력 2023-08-23 14:28
업데이트 2023-08-23 14: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가생물종 등록된 5만 8050종 중 6851종
2000년 이전 국내학자 명명률 3.4%에 불과

이미지 확대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인 ‘참닻꽃’은 기존 명명된 닻꽃(Halenia corniculata)이 있으나 2019년 국내 학자가 한반도 중남부 분포 개체는 형태나 DNA 염기서열이 한반도 북부나 중국·러시아·일본에 서식하는 종과 뚜렷이 구분된다는 것을 규명한 후 참닻꽃(Halenia coreana)라는 학명이 부여됐다. 국립생물자원관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인 ‘참닻꽃’은 기존 명명된 닻꽃(Halenia corniculata)이 있으나 2019년 국내 학자가 한반도 중남부 분포 개체는 형태나 DNA 염기서열이 한반도 북부나 중국·러시아·일본에 서식하는 종과 뚜렷이 구분된다는 것을 규명한 후 참닻꽃(Halenia coreana)라는 학명이 부여됐다. 국립생물자원관
국내 자생생물 중 국내 학자가 지은 학명이 6851종에 달했다.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은 2022년 국가생물종목록에 등재된 5만 8050종의 학명 명명자를 인공지능 기술인 챗지피티(ChatGPT)와 전문가 검토 방식으로 분석한 결과 국내 학자가 지은 학명이 11.8%로 나타났다고 23일 밝혔다.

이는 2000년(1662종)대비 4배 이상 증가한 규모다. 우리나라 자생생물 학명은 2000년 이전까지 유럽·일본·중국 등 외국 학자들이 발견해 이름을 짓다보니 우리나라 연구자의 명명 비율이 3.4%에 불과했다.

지난 2007년 국립생물자원관 개관 이후 자생생물 발굴사업 등 신종 발굴 연구 등이 추진되면서 국내 연구자의 명명 비율이 크게 상승했다. 한반도에 자생하는 고유종(2355종)의 학명은 64.0%(1506종)가 국내 학자에 의해 지어졌고, 특히 2001년 이후 발견된 고유종(719종)은 91.6%(659종)에 달했다.

형태적·분자생물학적 연구를 통해 한반도에 서식하는 개체가 주변국 개체와 다른 종으로 밝혀져 학명에 우리나라를 뜻하는 코레아나(coreana)가 부여된 사례가 늘고 있다.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인 ‘참닻꽃’은 기존 명명된 닻꽃(Halenia corniculata)으로 알려졌으나 2019년 국내 학자가 한반도 중남부 분포 개체는 형태나 DNA 염기서열이 한반도 북부나 중국·러시아·일본에 서식하는 종과 뚜렷이 구분된다는 것을 규명했다. 이후 참닻꽃(Halenia coreana)라는 학명을 부여했다.

서민환 국립생물자원관장은 “최대 10만종으로 추정되는 한반도 자생종 발굴을 위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세종 박승기 기자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