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감으로 만드는 수제맥주 맛은...진영단감 효모로 수제맥주 개발, 내년 시제품 목표

단감으로 만드는 수제맥주 맛은...진영단감 효모로 수제맥주 개발, 내년 시제품 목표

강원식 기자
입력 2023-08-23 18:23
업데이트 2023-08-23 18: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해의생명진흥원과 맥주개발업체 단감맥주 개발 협약.
내년 10월 김해전국체전때 시식 계획.

경남 김해 지역 특산물인 단감을 이용하는 맥주가 개발된다.

경남 김해시 김해의생명산업진흥원은 수제맥주 연구개발 회사(브루어리)인 ㈜바이오 크래프트와 협약을 맺고 진영 단감을 활용하는 맥주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고 23일 밝혔다.
이미지 확대
홍태용( 왼쪽에서 여덟번째) 김해시장을 비롯해 김해시와 김해의생명산업진흥원, 경남도농업기술원 단감연구소 등 관계자들이 지난 21일 진영 단감 시배지 일원에서 단감효모 채집 작업을 하며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김해시 제공
홍태용( 왼쪽에서 여덟번째) 김해시장을 비롯해 김해시와 김해의생명산업진흥원, 경남도농업기술원 단감연구소 등 관계자들이 지난 21일 진영 단감 시배지 일원에서 단감효모 채집 작업을 하며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김해시 제공
앞서 김해의생명산업진흥원은 진영지역 특산물 사업화를 통한 지역발전과 중소기업 육성을 위해 지난 4월 경남도 농업기술원 단감연구소와 공동으로 진영 단감을 활용한 맥주 개발에 나섰다. 지금까지 단감을 재료로 개발된 가공품은 대부분이 단감 과실(과육)을 이용한 과자나 시럽, 음료 등이다.

김해의생명산업진흥원과 바이오 크래프트가 개발하는 단감맥주는 단감 과실을 비롯해 잎과 나무 등에서 채집한 효로를 이용해 제조하는 맥주다. 김해의생명진흥원은 단감 효모를 활용하는 맥주 개발은 이번이 처음으로 개발이 완료되면 진영을 중심으로 한 김해지역 특산물로 인기가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김해의생명산업진흥원은 단감맥주 제조 기술이 개발되면 진영 단감맥주를 제품화 해 김해지역에 단감 수제맥주 산업을 육성할 계획이다. 단감 수제맥주 창업을 지원하는 교육과 체험프로그램도 운영할 방침이다.

김해의생명산업진흥원은 내년 10월 김해에서 개최 예정인 전국체전이 열리기 전까지 단감 수제맥주 개발을 완료해 체전기간에 전국 방문객들이 단감맥주를 시식 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박성호 김해의생명산업진흥원 원장은 “진영 지역 특산물인 단감을 활용한 수제 맥주 개발이 창업으로 이어지고 진영 단감맥주가 지역 대표 브랜드가 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진영읍지(2004년)’와 경남농업기술원의 ‘경남농업기술100년(2008년)’ 등 여러 자료에 따르면 김해시 진영읍 지역은 1927년 진영읍 신용리를 중심으로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단감을 재배한 지역으로 기록돼 있다. 현재 김해지역에는 진영을 중심으로 1000여 농가에서 920㏊ 면적에 단감을 재배한다. 김해시는 김해지역 단감 역사성과 품질 우수성 등을 알리기 위해 해마다 단감축제도 한다.
김해 강원식 기자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