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술국치, 국권피탈 113년…“가미카제 상품 버젓이 판매” 통탄

경술국치, 국권피탈 113년…“가미카제 상품 버젓이 판매” 통탄

권윤희 기자
권윤희 기자
입력 2023-08-29 09:10
업데이트 2023-08-29 1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코스프레 소품, 액세서리, 모자, 신발, 스티커 등 다양한 가미카제 상품들이 판매되고 있었다”며 국내 대형 온라인 쇼핑몰 22곳 조사 결과를 소셜미디어(SNS)에 소개했다. 2023.8.29 서경덕 페이스북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코스프레 소품, 액세서리, 모자, 신발, 스티커 등 다양한 가미카제 상품들이 판매되고 있었다”며 국내 대형 온라인 쇼핑몰 22곳 조사 결과를 소셜미디어(SNS)에 소개했다. 2023.8.29 서경덕 페이스북
경술국치, 국권피탈 113년. 일부의 안일한 역사 인식에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통탄을 금치 못했다.

서 교수는 29일 “경술국치일인 오늘 국내 대형 온라인 쇼핑몰에서 가미카제(神風) 관련 상품들이 버젓이 판매되고 있어 정말로 안타까울 따름”이라고 지적했다.

가미카제는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날 무렵 폭탄이 실린 전투기를 몰고 적군의 전함 등에 충돌한 일본의 자폭 특공대를 말한다.

서 교수는 “코스프레 소품, 액세서리, 모자, 신발, 스티커 등 다양한 가미카제 상품들이 판매되고 있었다”며 국내 대형 온라인 쇼핑몰 22곳 조사 결과를 소셜미디어(SNS)에 소개했다.

그는 “유명 온라인 쇼핑몰이 아무리 ‘해외 직구’에 관한 플랫폼을 제공한다고 하더라도 제대로 된 검증 없이 가미카제 관련 상품들을 판매하는 건 잘못된 일”이라며 “일본에 빌미를 제공하는 것이기에 우리가 먼저 조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대형 온라인 쇼핑몰에서 욱일기 관련 상품도 판매돼 지난 몇 년간 꾸준히 지적한 결과 상당 부분이 개선됐다”며 “이번에도 지속해 항의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이미지 확대
한일병합 조약 조인서. 한국학중앙연구원
한일병합 조약 조인서. 한국학중앙연구원
113년 전 오늘, 대한제국은 일본에 치욕적으로 국권을 빼앗겼다.

경술년이었던 1910년 8월 22일, 대한제국 총리대신이었던 매국노 이완용이 한국 통감 데라우치 마사타케와 한일강제병합조약에 조인했고, 같은달 29일 조약 공포로 대한제국은 일본의 식민지로 전락했다.

이로써 조선왕조 건국 519년(27대) 만에, 대한제국 성립 14년 만에 나라가 망했다.

경술년에 있었던 국가적 치욕이라 하여 이날을 ‘경술국치’(庚戌國恥)일로 부른다.

대다수 지자체는 경술국치일에 조기를 게양하고 있다. 그러나 중앙정부나 국회는 국가 기념일 지정에 소극적이며 달력에도 표시하지 않고 있다.

다음은 한일강제병합조약 전문.
한국 황제 폐하와 일본국 황제 폐하는 두 나라 사이의 특별히 친밀한 관계를 고려하여 상호 행복을 증진시키며 동양의 평화를 영구히 확보하자고 하며 이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면 한국을 일본국에 병합하는 것이 낫다는 것을 확신하고 이에 두 나라 사이에 합병 조약을 체결하기로 결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 황제 폐하는 내각 총리 대신(內閣總理大臣) 이완용(李完用)을, 일본 황제 폐하는 통감(統監)인 자작(子爵) 사내정의(寺內正毅, 데라우치 마사타케)를 각각 그 전권 위원(全權委員)으로 임명하는 동시에 위의 전권 위원들이 공동으로 협의하여 아래에 적은 모든 조항들을 협정하게 한다.
한국 황제 폐하는 한국 전체에 관한 일체 통치권을 완전히 또 영구히 일본 황제 폐하에게 양여함.
일본국 황제 폐하는 앞조항에 기재된 양여를 수락하고, 완전히 한국을 일본 제국에 병합하는 것을 승락함.
일본국 황제 폐하는 한국 황제 폐하, 태황제 폐하, 황태자 전하와 그들의 황후, 황비 및 후손들로 하여금 각기 지위를 응하여 적당한 존칭, 위신과 명예를 누리게 하는 동시에 이것을 유지하는데 충분한 세비를 공급함을 약속함.
일본국 황제 폐하는 앞 조항 이외에 한국황족 및 후손에 대해 상당한 명예와 대우를 누리게 하고, 또 이를 유지하기에 필요한 자금을 공여함을 약속함.
일본국 황제 폐하는 공로가 있는 한국인으로서 특별히 표창하는 것이 적당하다고 인정되는 경우에 대하여 영예 작위를 주는 동시에 은금(恩金)을 줌.
일본국 정부는 앞에 기록된 병합의 결과로 완전히 한국의 시정을 위임하여 해당 지역에 시행할 법규를 준수하는 한국인의 신체 및 재산에 대하여 전적인 보호를 제공하고 또 그 복리의 증진을 도모함.
일본국 정부는 성의충실히 새 제도를 존중하는 한국인으로 적당한 자금이 있는 자를 사정이 허락하는 범위에서 한국에 있는 제국 관리에 등용함.
본 조약은 한국 황제 폐하와 일본 황제 폐하의 재가를 받은 것이므로 공포일로부터 이를 시행함.
위 증거로 삼아 양 전권위원은 본 조약에 기명 조인함.
융희 4년 8월 22일 내각총리대신 이완용
메이지 43년 8월 22일 통감 자작 데라우치 마사타케
권윤희 기자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