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교조광주지부, 광주시교육청 이중적 행태 규탄

전교조광주지부, 광주시교육청 이중적 행태 규탄

서미애 기자
서미애 기자
입력 2023-08-30 15:55
업데이트 2023-08-30 16: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공교육 멈춤의 날’ 지지한다면서 현장에는 협박성 공문
이정선광주시교육감 “9·4교권회복의 함께하겠다” 입장

이미지 확대
전교조 광주지부는 30일 광주시교육청 정문에서 ‘9.4 공교육 멈춤의날’에 대한 지지와 참여를 바라는 입장을 발표하고 있다.
전교조 광주지부는 30일 광주시교육청 정문에서 ‘9.4 공교육 멈춤의날’에 대한 지지와 참여를 바라는 입장을 발표하고 있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 광주지부는 30일 광주시교육청 정문에서 ‘9.4 공교육 멈춤날’에 대한 이정선 광주시교육감 이중적 행보를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가졌다.

이날 전교조 광주지부는 광주시교육청이 겉으로는 9월 4일 서이초 선생님 추모제 참여를 지지하고 뒤로는 협박하고 불참을 종용하고 있다며 비판했다.

전교조 광주지부는 이날 성명서를 내고 “광주시교육감의 입장이 배포된 날 각 지역교육청에서는 학교장에게 교사들의 자발적 참여로 이루어지는 추모 행동을 불법이라 규정했다”라면서 “광주 교사도 2000~3000여명이 참여할 것으로 예상된다”라고 밝혔다.

전교조 광주지부는 특히 ”9월 4일 재량휴업과 교원 복무와 관련, 인사상 불이익을 받는 일이 없도록 하라는 지시사항을 보내고, 학교에는 교육부의 협박성 공문을 게시했다”라면서 이중적인 행보라며 비판했다.

이에 따라 학교 현장은 혼란과 갈등에 휩싸였다. 공교육 멈춤의 날 참여 희망 교사들은 “복무를 어떻게 해야 하나?” 혼란스러워하고 있으며, 교장도 “당일 복무를 허락해야 하나?” 고민하고 있다는 것이다.

전교조 광주지부는 이어 “학교 현장의 교사들은 지금 바꾸지 않으면 다시는 바꿀 수 없다는 절박함을 가지고 9월 4일 서이초 선생님 49재를 추모하고, 합법적인 방법으로 ‘공교육 멈춤의 날’과 추모 집회를 추진하고 있다”라고 강조했다.

특히 재량휴업이나 단축수업, 조퇴, 병가 등으로 인한 차질과 혼란이 없게 대책을 세우도록 학교에 안내하고, 학교의 자율적 결정을 존중하는 것은 물론, 교육감의 권한 내에서 최대한 학교와 교원을 지키겠다는 입장을 구체적으로 밝힐 것도 촉구했다.

교육부는 ‘공교육 멈춤의 날’ 학교의 재량휴업이나 교원의 집단 연가 사용을 통해 2학기 정상적인 학사 운영을 저해하려는 것에 대해 안내한다며 “‘교권 회복 및 보호 강화 방안’ 안내 및 2학기 학사 운영‧복무관리 철저 요청” 공문을 8월 24일 시도교육청과 각급 학교에 보냈다.

전교조 광주지부는 “9월 4일 광주의 교사들이 자발적으로 추모하고, 합법적인 방식으로 ‘공교육 멈춤의 날’을 진행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참여할 것이다”라며 “교사의 권리인 연가, 병가, 조퇴 사용으로 받는 부당한 불이익에 대해 법률지원 등 할 수 있는 모든 방안을 통해 지원하고 보호 활동을 진행할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한편 이정선 광주시교육감은 지난 28일 “다음달 4일 예정된 ‘서이초 교사 추모 교권 회복의 날’에 대해 공감하며 함께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 교육감은 “교권이 존중되지 않는 상황에서는 어떠한 교육도 제대로 이루어질 수 없다는 교사들의 마음에 깊이 공감한다”며 “정당한 교육활동을 하는 교사들이 부당한 민원과 교권 침해에 노출되지 않도록 치밀한 예방 체계를 마련하고, 안전한 공간에서 수업권과 학습권이 함께 지켜질 수 있도록 촘촘한 제도적 기반을 만들겠다”고 약속했다.

이어 “다음달 4일은 추모를 넘어 교권 회복을 다짐하는 날이 되기를 진심으로 희망한다”며 “교사들께서도 상황에 맞는 다양한 방식으로 마음을 함께해 주시기 바란다”고 이야기했다.
광주 서미애 기자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