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살시도자 상담하니 자살위험 60% 감소…효과 있어도 예산 없어 확대 난망

자살시도자 상담하니 자살위험 60% 감소…효과 있어도 예산 없어 확대 난망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23-08-31 16:20
업데이트 2023-08-31 16: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응급실 내원 자살시도자 상담·치료하니
우울감·자살생각·충동성 대폭 감소
90% ‘충동자살’, 자살시도자 자살위험 25배
위기 초기 개입시 자살 재시도 막을 수 있어
인프라 확대해야 하나 내년도 예산 증액 없어

이미지 확대
정부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자살률 1위라는 오명을 벗기 위해 10년 주기인 정신건강 검진을 2025년부터 2년 주기로 단축하고 전국 시도에 ‘생명존중 안심마을’ 조성 등을 통해 인구 10만명당 자살 사망자 수를 21년 26명에서 2027년 18.2명으로 30% 줄이겠다는 목표를 내놨다. 연합뉴스
정부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자살률 1위라는 오명을 벗기 위해 10년 주기인 정신건강 검진을 2025년부터 2년 주기로 단축하고 전국 시도에 ‘생명존중 안심마을’ 조성 등을 통해 인구 10만명당 자살 사망자 수를 21년 26명에서 2027년 18.2명으로 30% 줄이겠다는 목표를 내놨다.
연합뉴스
응급실에 온 자살 시도자를 사례관리사가 매일 만나 심리 치료를 한 결과 자살 위험이 60%나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자살 시도자의 자살 위험은 일반인보다 25배 높은데, 현재 84개 응급실에서만 이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어 인프라를 더 확대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31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2013년부터 시작된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은 응급실에 상주하는 사례관리사가 자살 시도자에게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고, 퇴원 후에도 지속해 관리받을 수 있도록 지역사회 정신건강 서비스를 연계해주는 것이다.

사업의 효과성은 충분히 입증됐다. 지난해 응급실 내원 후 상담·치료를 받은 1만 1321명을 조사한 결과 상담을 거듭할수록 자살위험도와 우울감이 감소했다. 특히 전반적으로 자살위험도가 높은 사람의 비율이 1회 상담을 받았을 때는 15.6%였다가 4회 상담 때는 6.5%로 감소해 60%가량 줄었다. 서비스 전후로 우울감을 느끼는 사람은 18.8%포인트, 불안·초조를 느낀 사람은 10.0%포인트, 자살 생각을 한 사람은 11.4%포인트, 자살 충동을 느낀 사람은 12.0%포인트 감소했다.

흔히 자살은 막기 어렵다고 하지만, 위기의 순간 누군가 상처를 보듬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한 생명을 살릴 수 있다고 사례관리사들은 말한다. 자살 시도자 10명 중 9명이 충동적으로 자살을 시도하기 때문에 환자 곁에서 말을 건네고 마음 치료를 하면 또다시 자살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2016년 통계를 보면 2013~2015년 병원 응급실을 찾은 자살 시도자 1만 3643명 중 745명이 퇴원 후 다시 자살을 시도해 결국 숨졌다. 이 중 517명(69.4%)이 사례관리사의 상담 서비스를 받지 않은 사람이었고, 나머지 228명이 상담을 받은 사람이었다. 상담받은 사람과 받지 않은 사람의 사망률 차이가 2배를 웃돈다.

이처럼 효과가 뚜렷한데도 서비스 시행 기관이 센터급 이상 응급의료기관(177개)의 48%에 불과해 서비스를 충분히 제공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응급실 사후관리 예산은 올해 143억 5400만원이며, 정부가 제출한 내년도 예산은 증액되지 않았다.

복지부 관계자는 “응급실 기반 자살 시도자 사후관리사업 참여 기관을 무한정 늘릴 수는 없어 지역 정신건강센터로 연계해 상담·관리하고자 한다”며 “현재 정신건강센터 사례관리사 1명이 자살 시도자 20~25명을 담당하고 있는데, 15명 정도만 담당하도록 인력 충원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한편 지난해 80개 병원을 찾은 자살 시도자 2만 6538명 중 여성 자살 시도자가 65.2%(1만 7294명)로 남성(9244명)의 2배에 가까웠다. 연령별로는 20대가 27.9%(7400명), 10대 16.5%(4368명), 30대 13.6%(3607명) 순으로 많았다. 자살 시도 동기로는 정신적 문제(38.1%), 대인관계(18.9%), 말다툼(10.3%), 경제적 문제(6.6%) 등이 꼽혔다.
이현정 기자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