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따리상 물건 판매…불법 수입식품 판매업소 12곳 적발

보따리상 물건 판매…불법 수입식품 판매업소 12곳 적발

서유미 기자
서유미 기자
입력 2024-05-09 16:23
업데이트 2024-05-09 16: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울시 민생사법경찰단은 지난달 자치구와 합동으로 외국 식료품 판매업소를 단속한 결과 불법 수입식품 판매업소 12곳을 적발했다고 9일 밝혔다.

적발된 판매업소는 수입신고를 하지 않거나 스티커 등 한글 표시사항이 적히지 않은 식품 판매 8곳, 제품을 개봉 후 재포장해 판매 3곳, 소비기한 경과 제품 판매 1곳이다.

보따리상에게서 1~2주 간격으로 고기 양념, 육포 따위를 보따리째로 사 판매한 사례, 업주가 직접 외국에 갈 때마다 라면 등 식품을 사 들고 온 사례, 한글 표시가 없는 제품을 진열해 판 사례 등이 적발됐다.

또 정식 수입된 당면을 소량으로 비닐봉지에 나눠 담아 손님에게 내놓은 사례, 소비기한이 지난 제품을 판 사례 등도 있었다.
이미지 확대
서울시 민생사법경찰단이 외국 식료품 판매업소를 단속하고 있다.   서울시 제공
서울시 민생사법경찰단이 외국 식료품 판매업소를 단속하고 있다.

서울시 제공
시는 과태료 처분이나 형사입건을 할 예정이다. 무신고·한글 무표시 불법 수입식품을 진열하거나 판매하면 관련 법령에 따라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억원 이하의 벌금형을 받게 된다.

단속 대상은 이미 한 번 이상 행정 계도한 62곳이었다. 민생사법경찰단은 “정식 통관절차를 거치지 않고 보따리상이나 직구로 국내에 수입식품이 들어오고 있고 한글 표시가 없는 제품은 알레르기 유발 성분 등 정보를 확인할 수 없어 단속에 나섰다”고 설명했다.

불법 수입식품 판매업소 신고와 제보는 ‘서울스마트불편신고’ 앱이나 서울시 홈페이지에서 할 수 있다. 서영관 서울시 민생사법경찰단장은 “시민의 건강과 안전을 위해 불법 수입식품 판매 행위가 근절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서유미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