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재’ 많은 사업장보니…상위 20개 사업장서 5년간 3만 7000건 신청

‘산재’ 많은 사업장보니…상위 20개 사업장서 5년간 3만 7000건 신청

박승기 기자
박승기 기자
입력 2022-10-05 10:58
업데이트 2022-10-05 14: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석탄공사 5287건, 쿠팡 4537건 등 집중
배달업 등 ‘사각지대’ 해소 대책 시급

대한석탄공사와 쿠팡 등의 사업장에서 산업재해 발생이 집중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국민의힘 이주환 의원이 근로복지공단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8년부터 올해 8월까지 4년 8개월간 산재 신청 상위 20개 기업의 신청건수가 3만 6812건에 달했다. 이중 82%(3만 204건)가 산재 판정을 받았다.

사업장별로는 석탄공사가 5287건(2872건 승인)으로 가장 많았고, 쿠팡 4537건(4312건 승인), 현대자동차 2888건(2549건 승인), 우아한청년들(배달 서비스) 2883건(2764건 승인), 현대중공업 2448건(1890건 승인) 등의 순이다.

석탄공사는 매년 상시 근로자의 60∼70%에 달하는 인원이 산재를 신청하는 것으로 파악됐는 데 석탄 분진에 많이 노출되는 광업의 업무 특성상 폐 질환과 난청 판정을 받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팬데믹에 따른 온라인 구매 확대와 음식 배달 등의 활성화로 쿠팡과 배달의 민족 등 관련 업종에서도 산재 발생이 잇따랐다.

같은 기간 20개 사업장에서 사망사고 산재 신청은 총 333건으로 이 중 64%(214명)가 산재 판정을 받았다.

사망사고 산재 신청이 가장 많은 기업도 석탄공사로 총 43건의 신청돼 34건이 승인됐다. 이어 현대건설 37건(29건 승인), 대우건설 36건(24건 승인), 현대자동차 35건(15건 승인), GS건설 32건(20건 승인) 순이다.

이 의원은 “광업·제조업·건설업 등 산재 다발 업종 관리도 중요하지만 코로나19 이후 산업 생태계 변화에 따라 산재 취약 업종으로 부상한 배달업 등에서 사각지대가 생기지 않도록 업종별 맞춤형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세종 박승기 기자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