高3수험생 교과학습·독서활동 위주로

高3수험생 교과학습·독서활동 위주로

입력 2010-04-06 00:00
업데이트 2010-04-06 01: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학년별 대비 어떻게

“제도가 갑자기 확대된 뒤 입학사정관 전형을 치른 올해 신입생의 경우 정말로 사정관 전형에 적합한 학생들이었을 확률이 높습니다. 앞으로는 사교육의 관리를 받은 학생들이 몰릴 수도 있으니 사정관들도 대비를 할 것입니다.”



●뒤늦은 봉사활동 시작 어려워

가톨릭대 김수연 입학사정관의 말이다. 김 사정관은 “고 3이 되어서 비교과활동을 준비하기가 쉽지 않다.”면서 “평소에 특정 분야에 꾸준한 관심을 갖고 노력한 학생들이 지난해 사정관 전형에 응시했을 개연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이 논리는 올해 고 3에도 적용될 수 있다. 4월인 현재 고 3이라면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6월 모의고사 준비에 집중하느라 봉사활동 등을 새롭게 시작하기 어려운 형편이다. 수시와 정시 준비생은 물론이고 사정관 전형을 준비할 때에도 비교과활동으로 진로에 대한 의지를 증명하기보다 관련 교과 학습과 독서 활동 등에서 잠재력을 키우는 활동이 중요한 시점이다.

진학사 김희동 입시분석실장은 “사정관 전형은 고 3이 되어 무리하게 준비해서는 절대 성공할 수 없다.”면서 “학교생활기록부 기재 사항을 근거로 자기소개서·추천서·학업계획서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기 때문에 전공에 대한 관심·열정·발전 가능성을 역설한다면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다.”고 조언했다.

●高1~2 비교과 활동·면접 대비를

고 1~2학년이면서 진로를 뚜렷하게 설정했다면, 비교과 활동에 적극 나서며 사정관 전형을 준비하는 것도 좋다. 대학별로 사정관 전형을 확대할 방침인데, 지금까지처럼 특수한 전형을 사정관 전형으로 새롭게 만들기보다는 기존의 수시·정시 전형에서 면접을 강화하는 방식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크다. 성적과 서류 외에 면접 등에 대비하는 연습을 해야 하는데, 관련 분야에 대한 경험만큼 좋은 연습이 없다.

중학생이라면 창의적 체험활동 종합시스템과 친해지는 연습을 해야 한다. 학교생활기록부를 보충하는 일종의 비교과활동 기록체계로 생각하면 되는데, 학생이 직접 입력하면 교사가 인증해주는 체계이다.

과학고·외국어고나 자립형 사립고 지망을 꿈꾸고 있다면, 영어 내신·면접 대비·독서와 봉사활동 등을 준비해야 한다.

홍희경기자 saloo@seoul.co.kr
2010-04-06 15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