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1진로탐색제, 내년 전면확대는 무리”

“중1진로탐색제, 내년 전면확대는 무리”

입력 2013-09-10 00:00
업데이트 2013-09-10 00: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울시 교사·전문가 토론회

서울시교육청이 지난 학기 11개 중학교를 대상으로 시범 추진한 ‘진로탐색 집중학년제’에 대해 “전체 중학교로 확대하기 어렵다”는 우려가 나왔다. 일선 교사들의 업무 과중도 문제점으로 거론됐다.

9일 서울 서부교육지원청 대강당에서 열린 ‘중1 진로탐색 집중학년제와 자유학기제의 발전 방안 토론회’에서다.

토론자로 참석한 강성봉 교육연구정보원장은 “진로탐색 집중학년제나 자유학기제가 중학교 전체 학교로 확대되면 학생들이 체험할 수 있는 기관을 학교가 모두 확보할 수 있겠느냐”고 지적했다. “교육부와 시교육청이 직업 체험 기관을 확대하기 위해 많은 기관들과 양해각서(MOU)를 교환하고 있지만 현재로선 모든 중학생을 받아들이기에 역부족”이라는 것이다.

다른 토론자인 중암중 진미숙 교사는 일선 교사들의 업무 과중과 학생들의 학업 부담을 문제점으로 지적했다. 그는 “지금도 주 5일제 수업과 집중이수제, 스포츠클럽 확대 등으로 교과 수업 시간은 적어지고 가르칠 내용은 많아 허덕이는 형편”이라며 “과정을 다 다루지 못하는 과목들의 다른 학기 수업 부담이 늘어난다는 교사들의 불만이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진로탐색학기를 실시하면 중간, 기말로 나눠 평가하던 것을 기말에 몰아서 평가하기 때문에 학생들의 학업 부담 역시 전혀 줄지 않았다고 밝혔다.

다만, 주제 발표자인 어윤경 공주대 사범대 교육학과 교수는 지난 학기 11개 시범 중학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학생의 87.1%, 교사의 75.0%, 학부모의 68.7%가 ‘진로탐색 집중학년제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고 밝혔다. 어 교수는 직업 체험 기관 섭외에 대해 “연구학교들이 직업 체험 기관 섭외가 어려웠다고 토로했다”면서 “확대하기 전에 이를 충분히 보완해야 한다”고 말했다.

지난 3월부터 시교육청 산하 11개 교육지원청에서 시작한 진로탐색 집중학년제는 ‘진로와 직업’ 교과목을 정규과목으로 운영하고 업체 체험을 하는 식으로 진행된다. 이는 문용린 교육감의 주요 공약으로 교육부의 자유학기제와 유사해 ‘시교육청판 자유학기제’로도 불린다. 한편 시교육청은 오는 12일까지 3개 권역에서 토론회를 이어 갈 예정이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3-09-10 9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