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총-전교조, 교학사 교과서 등 교육문제 ‘이견’

교총-전교조, 교학사 교과서 등 교육문제 ‘이견’

입력 2013-09-25 00:00
업데이트 2013-09-25 13: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관훈토론회…전교조 해직자 가입 논란에 교총 회장 “현행법 존중해야”

대표적 교원단체인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와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이 교학사 고교 한국사 교과서 논란 등 다양한 교육 문제를 두고 상반된 입장을 나타냈다.


안양옥 교총회장과 김정훈 전교조 위원장은 25일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관훈초대석에서 교학사 교과서, 전교조 법외노조화, 새로운 대입제도 등 다양한 교육문제를 두고 토론했다.

’우편향’ 논란을 빚은 교학사 교과서에 대해서는 안 회장과 김 위원장이 뚜렷한 의견 차이를 드러냈다.

안 회장은 “교학사에서 지적된 오류는 검정합격한 다른 7종의 교과서에도 모두 있다”며 “교육부는 재검정에서 이들 교과서에 나타난 문제를 바로잡고 표준화된 콘텐츠를 만들어 소모적 논쟁을 종식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김 위원장은 “교학사는 ‘식민사관’의 관점에서 역사를 기술하고 있다”며 “교학사 교과서의 문제는 다른 7종에 비할 바가 아니며 당장 검정합격을 취소해야 한다”고 반박했다.

전교조의 해직자 가입 문제도 서로 다른 의견을 보였다.

김 위원장은 법외노조를 감수하고라도 해직 조합원을 안고 가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김 위원장은 “법외노조로 가고 싶은 마음은 없지만 다양한 공교육 정상화 활동을 하다가 해직된 조합원의 자격을 박탈할 순 없다”며 “고용노동부의 규약 시정명령을 거부할 것이고 그 결과가 법외노조라면 감수할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안 회장은 “국가의 특수성 속에서 교원단체의 존립을 갖추는 게 중요하다”며 “법의 문제가 있을 순 있지만 법치주의에 따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교조가 다음 달 18, 19일 시행할 예정인 조합 교사들의 연가투쟁에 대해서도 “집단적 행동을 해서는 안 된다”며 “국민적 정서를 고려해야하며 정부와 대립과 갈등을 이루기보다는 시간을 갖고 문제를 푸는 게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안 회장이 전교조 소속 교사의 ‘정치이념 교육’을 문제 삼아 긴장된 분위기가 연출되기도 했다.

안 회장은 김 위원장에게 “소수 전교조 교사가 교실 내에서 정치이념 수업을 하는데 이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지적하자 김 위원장은 “편향된 정치이념 교육을 한 적도 할 생각도 없다”고 일축했다.

김 위원장은 “다만, 사회수업에서 민주주의, 인권에 대해 가르칠 수밖에 없지 않느냐”며 “그런 수준 이상의 교육은 하지 않으니 신뢰를 하고 지켜봐 달라”고 당부했다.

대입제도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두고는 양측이 공감대를 이뤘다.

안 회장과 김 위원장 모두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난도를 기초학력평가 또는 자격시험 수준으로 낮춰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안 회장은 “고등학교 교육이 대학에 종속되지 않아야 한다”며 “현 정부가 대입에 대해 깊은 고민을 못했다고 평가하나 공청회 등을 통해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이니 좀 더 인내심을 갖고 접근하자”고 제안했다.

김 위원장은 “중기적으로는 수능의 자격고사화, 장기적으로는 수능 폐지로 가야 한다”며 “정부는 근본적 중장기 대책을 논의·정립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