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 추천제 영재교육기관 48 → 70%로 확대

교사 추천제 영재교육기관 48 → 70%로 확대

입력 2013-10-03 00:00
업데이트 2013-10-03 00: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교육부 2017년까지 추진

정부가 오는 2017년까지 현재 한 자릿수에 불과한 다문화 학생 등 영재교육 소외자에 대한 영재교육 수혜율을 10%까지 확대하기로 했다. 현장 교사가 평소 학교생활을 장기 관찰한 후 영재교육 대상자를 추천하는 교사관찰·추천제 역시 같은 기간 내 전체 영재교육기관의 70%까지로 확대 운영한다. 또 수학·과학에 치중된 영재프로그램의 범위를 예체능 분야로 넓히기로 했다.

교육부는 이런 내용을 담은 ‘제3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을 2일 발표했다.

교육부 자료에 따르면 현재 전체 영재교육 대상자 가운데 다문화가정과 북한이탈주민, 저소득층 등 소외계층에 속하는 대상자는 2.46%에 불과하다. 교육부는 이를 ‘맞춤형 진단검사’ 지원 등을 통해 10% 수준으로 끌어올리겠다는 구상이다.

2009년부터 영재교육원, 영재학급 등 영재교육기관에 도입, 운영 중인 교사관찰·추천제의 실시 기관 비율도 지난해 48%에서 2017년까지 70%로 확대한다. 단 4~6개월간 교사의 관찰에만 의존하는 시스템에서는 주관적 판단이 개입될 수 있다고 보고 올해 안에 적성 체크리스트와 수행 관찰 도구를 개발해 선발방법을 객관화, 정교화할 예정이다.

정보·예술 분야 영재교육 프로그램도 확대한다. 지난해 17%인 수학·과학 이외의 영재프로그램 비율을 2017년까지 22%로 늘릴 계획이다.

이범수 기자 bulse46@seoul.co.kr

2013-10-03 9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