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종교과서 집필진 “자체 수정안 31일 공개 후 제출”

7종교과서 집필진 “자체 수정안 31일 공개 후 제출”

입력 2013-10-24 00:00
업데이트 2013-10-24 16: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교육부 수정보완권고 거부…전문가 자문위 전문성 의심스럽다”

교학사를 제외한 7개 한국사 교과서 집필진이 교육부의 수정·보완 권고를 받아들일 수 없다고 재확인하고 자체 수정안을 오는 31일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집필자협의회는 24일 보도자료에서 “지난 9월 15일 밝힌 바와 같이 이번 수정·보완 권고는 교육부 장관에게 법적으로 허용된 범위를 넘어서는 행위라고 판단해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밝혔다.

이들은 앞서 교육부가 논란이 된 교학사 교과서뿐만 아니라 8종 교과서를 모두 재검토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지난달 15일 기자회견에서 교육부의 수정지시를 따르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이어 “우리는 지난달 초 교육부의 수정·보완 권고 방침이 나온 직후부터 이미 출판사별로 교과서 검토 작업을 진행했다”며 “그 결과를 31일에 공개한 후 출판사별로 교육부에 전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교과서 집필자협의회에는 금성출판사, 두산동아, 리베르스쿨, 미래엔, 비상교육, 지학사, 천재교육 등 7개 교과서 집필자들이 참여했다.

이들은 21일 교육부가 발표한 수정·보완 권고안에 대해 “어떻게든 교학사의 수정권고 수를 줄이고 다른 7개 교과서의 건수를 늘리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며 “대단히 편파적”이라고 비판했다.

특히 수정권고 사항 가운데 명백하게 사실과 다른 경우가 있고, 이전에 수정 권고했던 내용과 반대되는 요구도 있다며 “전문가 자문위원회의 전문성도 심히 의심스럽다”며 자문위원 명단을 공개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하지만 우리 교과서에서 발견된 명백한 표현상의 잘못이나 객관적 오류가 있는 경우에는 이번 기회에 바로잡을 것이며, 교육부의 이번 수정보완 권고에서 미처 지적하지 않은 부분이 발견된 경우가 있다면 더불어서 수정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이는 교과서 집필자로서의 책임을 끝까지 다하려는 노력이라고 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들은 교육부의 수정권고에서 납득할 수 없는 사례 5가지를 대표적으로 소개하면서 전체 내용은 31일 자체수정안 결과 발표에서 제시하겠다고 밝혔다.

이들은 2009년 한국사 수정보완 권고에서는 자와를 자바로 고치라고 했다가 이번에는 다시 자와로 고치라고 하고, 2007년 수정보완 권고에서는 중국의 과거 지명을 한국식 발음으로 고치라고 했다가 이번에는 거꾸로 중국식 발음으로 바꾸라고 했다고 지적했다.

2007년엔 토지조사사업을 1910년에 시작한 것으로 서술하라고 했다가 이번에는 1912년으로 수정하라고 했고, 북한의 토지개혁이 경작권만 준 것이라고 수정하라고 했으나 전문가에 의하면 경작권만 준 것이라 할 수 없다고 밝혔다.

또, 독립문의 완공을 1898년 무렵으로 쓴 것을 1897년 11월 20일 완공됐다고 수정하라고 했으나 독립문 준공식은 거행된 바 없어서 완공날짜를 못박을 근거가 없다고 지적했다.

교육부는 7종 교과서 집필진 측이 자체적으로 수정한 내용을 반영한 수정대조표를 제출하면 수정·보완 권고안과 대조하고 미흡하다고 판단되면 수정명령을 내릴 계획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