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서 유학 오는 시골 기숙학교

도시서 유학 오는 시골 기숙학교

입력 2013-10-29 00:00
업데이트 2013-10-29 00: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역교육 현장의 빛과 그림자

시골 지역의 기숙형 고교에 도시 학생들이 크게 몰리고 있다. 28일 경남 지역 자치단체 등에 따르면 좋은 환경과 풍부한 장학 혜택 등이 입소문을 타면서 도시 지역의 학생들이 시골 기숙형 고교로 몰리고 있다.

함안군 가야읍의 함안고는 지난 25일 교내에서 연 2014년도 신입생 입학(160여명 모집) 설명회에 부산·창원·김해시 등 타 지역 학부모 500여명이 참석했다. 함안고는 기숙형 자율 공립학교로 입학 성적 1~10등은 100만~500만원, 재학생 성적 우수자는 학기당 150만원을 준다. 재학생 170명은 무료로 기숙사에서 생활한다.

또 서울대, 연·고대에 합격한 학생에게는 700만원씩, 수능(언어·수리·외국어) 3개 영역 2등급 이상으로 대학에 진학하면 학기당 250만원, 3등급 이내면 150만원의 장학금이 지급된다. 현재 10~20명이 서울대 등 유수대학의 올해 수시전형에 합격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민효 교장은 “좋은 면학 환경과 장학 혜택에 도시 학부모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남해해성고는 에머슨퍼시픽 그룹이 2006년부터 학교를 맡아 기숙사를 건립하고 파격적인 장학금 지원을 내세운 결과 역시 전국에서 우수한 학생들이 몰리고 있다. 올해 입학생 120명 가운데 90여명이 부산 등 도시에서 온 학생들이고 졸업생 가운데 40여명은 서울대, 연·고대를 비롯해 수도권 대학에 진학했다.

창원 강원식 기자 kws@seoul.co.kr

2013-10-29 9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