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남수 “역사교과서로 역대정권 평가는 부적절”

서남수 “역사교과서로 역대정권 평가는 부적절”

입력 2014-01-22 00:00
업데이트 2014-01-22 01:3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근현대사 축소 필요 의견 밝혀

서남수 교육부 장관이 21일 “역사 교과서로 역대 정권을 평가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며 근현대사 부분을 축소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밝혔다.

이미지 확대
서남수 교육부 장관
서남수 교육부 장관
서 장관은 이날 서울 서초구 서울교육대학교에서 열린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개정 전문가 대토론회’에 참석해 “다른 나라에서도 역사 교과서를 통해 정권별로 평가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교과서를 수집할 것을 지시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서 장관은 “현재 조선 이전과 조선 이후가 5대5쯤 되는데, 우리가 배울 때는 고조선부터 시작해 조선까지가 중심이었다. 최근 역사 교육은 근현대사가 너무 강조되고 있다”며 “역사 교과서가 역대 정권들에 대해 평가를 내린다면 정치적 중립성을 어떻게 확보할 수 있겠느냐”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공교육의 가장 큰 기능 중 하나는 국민통합”이라며 “하지만 우리는 이념적인 부분을 교과서에서 직접 다뤄서 국민통합을 해치고 있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학계에서는 서 장관의 주장에 대해 “현재와 가까운 역사에 대해 분량을 늘려 가는 게 현재 전 세계적인 추세”라고 반박했다. 정연태(가톨릭대 국사학 전공교수) 한국역사연구회 회장은 “아직 이명박 정권이나 노무현 정부 등에 대해서는 학계에서 충분히 연구를 하지 못했지만 적어도 6월 항쟁 이전에 대해서는 연구가 많이 진행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현재와 먼 과거사도 정치적으로 악용될 수 있다”며 “박정희 정권 때 신라시대 화랑을 내세워 민족주의 사관을 강조한 것이 그런 사례”라고 지적했다.

한편 이날 서 장관은 교육부의 편수 기능 강화에 대해서도 “누군가 책임지고 끊임없이 모니터링, 피드백하면서 교육과정을 발전시키는 사람이 있어야겠다 싶어 추진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토론회는 교육과정의 개발 초기 단계부터 현장에 있는 전문가들의 의견을 들어 교육과정을 개발하겠다는 취지로 마련됐다. 교육과정심의위원, 교육과정 전문가, 교육부 전문직 등 200여명이 넘는 인원이 참석했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4-01-22 1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