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험학습하면 친구 관계·학교생활 좋아져요”

“체험학습하면 친구 관계·학교생활 좋아져요”

입력 2014-11-18 00:00
업데이트 2014-11-18 00: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체험학습 어떤 효과 있나

“중학교 2학년 아이를 둔 엄마입니다. 요즘 체험학습 때문에 걱정이 많습니다. 학교에선 자꾸 하라는데 뭘 시켜야 할지도 모르겠고요. 아이가 좋아하는 것 같긴 한데, 사실 얼마나 도움이 될는지 싶네요. 엄마로서는 그 시간에 학원 더 다니게 하고 공부 좀 더 시키고 싶어요.”

이미지 확대
모 인터넷 사이트에 올라온 한 엄마의 글에 다른 엄마들의 갑론을박이 시작됐다. “체험학습은 장기적으로 인성을 키워준다”는 댓글에 “체험학습 보고서 형식적으로 쓰는 것. 효과가 얼마나 있겠나”라는 반박이 제기됐다. “어차피 고등학생 되면 못 가게 될 테니 지금이라도 많이 보내라”는 현실적인 조언도 이어졌다.

체험학습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초등학교는 기본 교과가 10개에서 7개로 축소되면서 창의적 체험 활동은 주당 2시간에서 3시간으로 늘었다. 서점에는 유익한 체험학습 장소를 소개하거나 학생이 제출해야 할 체험학습 보고서 작성 방법 등에 대한 책이 즐비하다. 인터넷으로 ‘체험학습’이라고 검색하면 ‘겨울방학에 갈 만한 곳’ 등에 대한 블로거들의 글과 엄마들의 생생한 경험담이 가득하다.

특히 내년부터 봄·가을 단기방학이 도입되거나 겨울방학이 길어지는 등 지역·학교별로 방학이 다양화될 전망이어서 체험학습에 대한 관심이 더 높아지고 있다. 교육부가 지난 3일 발표한 ‘2015학년도 학사운영 다양화·내실화 추진계획’에 따르면 매월 하루나 이틀 동안 다양한 체험을 하거나 휴업하는 ‘월별 단기체험형’, 1학기와 2학기 중간고사를 마치고 일주일쯤 방학하는 ‘봄·가을 단기방학형’, 또 2월에 아예 수업을 하지 않는 ‘2월 등교기간 최소화형’ 등이 도입된다.

체험학습은 학생들에게 효과가 있을까. 17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 따르면, 체험학습은 친구관계와 학교생활, 공동체 의식 등에 긍정적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황진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이 2010년 중학교 1학년, 2011년 2학년, 2012년 3학년을 대상으로 ▲건강·보건 ▲과학·정보 ▲교류활동 ▲모험·개척 ▲문화·예술 ▲봉사활동 ▲직업체험 ▲환경보존 ▲인성개발 등 모두 9개 체험활동 영역의 3년간 참여율 변화 추이를 좇은 ‘중학교 청소년의 체험활동 참여변화와 사회적 발달’ 결과다. 이에 따르면 9개 체험활동 영역별 중학교 3년 동안 총 참여시간의 1년 평균을 조사한 결과, 중학교 1학년(2010년)은 1개 영역별로 평균 7.22시간, 중학교 2학년(2011년)은 평균 9.49시간, 중학교 3학년(2012년)은 6.91시간으로 나타났다.

영역별로는 봉사활동은 2010년 9.51시간에서 2011년 10.66시간, 2012년 10.82시간으로 계속해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또 모험·개척활동(2010년 15.48시간, 2011년 15.86시간, 2012년 15.80시간)과 환경보존활동(2010년 3.57시간, 2011년 3.51시간, 2012년 3.53시간)은 3년간 참여시간 변화 수준이 상대적으로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교 1학년 시기에는 봉사활동, 모험개척활동, 건강보건활동과 직업체험활동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지만, 중학교 2학년 시기에는 봉사활동, 직업체험활동이 높게 나타났다. 중학교 3학년은 봉사활동과 직업체험활동 이외에는 15% 이하의 참여율을 보였다.

황 선임연구위원은 “중학생의 봉사활동이 제도화되었고 진로 관련 관심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라며 “특히 모험개척활동의 참여율이 급감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청소년의 성장과정의 특성을 반영한다”고 설명했다.

중학교 1학년부터 중학교 2학년까지 2년간 참여한 체험활동 영역 수와 참여 시간, 참여에 따른 만족도와 중학교 3학년 시기의 친구 간 의사소통 능력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도 흥미롭다. 중학교 2학년까지 참여한 체험활동 영역 수와 참여 시간이 높을수록, 그리고 참여 만족도가 상, 하, 중 집단일수록 중학교 3학년이 되어 친구 간 의사소통 능력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또 청소년이 중학교 2학년까지 참여한 체험활동 영역 수, 참여 시간, 참여 만족도가 높은 집단일수록 중학교 3학년이 된 이후 친구 간 신뢰 정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중학교 2학년까지 참여한 체험 활동 영역 수, 참여 시간, 참여 만족도가 높은 집단일수록 중학교 3학년 시기의 학습활동은 물론 학교규칙 준수 정도도 상대적으로 높았다.

체험활동에 대한 경향도 바뀌고 있었다. 중학교 3년간 학년별로 체험활동 영역별 희망 체험활동 변화를 살펴보면 2010년(중학교 1학년)에는 모험·개척 활동(18.7%)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2011년과 2012년에는 직업체험활동(2011년 17.0%, 2012년 20.0%)이 가장 높았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4-11-18 22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