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고교에 탈의실 2021년까지 설치

중·고교에 탈의실 2021년까지 설치

김소라 기자
김소라 기자
입력 2019-07-16 23:20
업데이트 2019-07-17 03:2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전국의 중·고등학교 10곳 중 서너곳은 탈의시설이 없어 학생들이 불편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부는 학교 체육활동 활성화의 일환으로 2021년까지 전국 모든 중·고교에 탈의실을 설치하기로 했다.

16일 교육부에 따르면 지난 4월 기준 전국 중·고교 5690곳 중 1980곳(34.8%)에 탈의시설이 없다. 학교급별로는 중학교 1059곳(32.3%), 고등학교 921곳(38.2%)에 탈의시설이 없는 상태다. 지역별로는 경남의 설치율이 99%에 달한 반면 경기(53%), 서울(59%), 경북(53%) 등의 설치율은 60%에 못 미치는 등 지역별 편차도 컸다. 탈의시설이 있는 학교들도 학교 전체에 탈의실이 1개밖에 없는 곳이 상당수였다.

교육부는 2021년 상반기까지 전국 모든 중·고교에 탈의시설을 설치하기로 하고 내년부터 보통교부금 교육환경개선비에 탈의시설 항목을 신설해 예산 확보에 나설 계획이다. 학교 공간이 부족해 탈의시설 설치가 어려운 경우에는 복도 등을 활용한 칸막이형 탈의실 등 다양한 유형의 시설이 들어선다.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2019-07-17 10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