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제대 교수평의회, 교육부에 감사 요구… “재단이 학교 부당 운영”

인제대 교수평의회, 교육부에 감사 요구… “재단이 학교 부당 운영”

문경근 기자
문경근 기자
입력 2023-08-28 13:49
업데이트 2023-08-28 13:5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지난 16일 서울행정법원은 서울백병원 교수협의회 소속 교수진 24명과 간호사 등 일반 직원 240여 명이 제출한 ‘서울백병원 폐원 결의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에 대해 첫 심문을 진행할 예정이다. 사진은 이날 서울 중구 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모습.
지난 16일 서울행정법원은 서울백병원 교수협의회 소속 교수진 24명과 간호사 등 일반 직원 240여 명이 제출한 ‘서울백병원 폐원 결의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에 대해 첫 심문을 진행할 예정이다. 사진은 이날 서울 중구 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모습.
인제대학교 교수들이 재단이 학교를 부당 운영하고 있다며 교육부에 감사를 요구할 계획이다.

인제학원 이사회가 지난 6월 서울백병원 폐원을 결정한 이후 이를 반대하는 구성원들 간의 내부 다툼이 점입가경이다.

인제대 교수평의회 등은 28일 교육부에 방문해 인제학원의 부당행위를 규탄하고 교육부에 감사를 요구한다는 입장을 전달할 예정이다.

이들은 “인제대 재단은 서울백병원의 적자를 이유로 지난 6월 20일 이사회에서 서울백병원 폐원을 결정했고 이달 31일 진료 종료를 통보했다”며 “공적 의료 의무와 신뢰를 저버린 공익재단의 무책임한 결정”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차기 총장 선임 이사회에서 2018년과 2019년에 이어 3차례 연속 선거인단 투표에서 1등을 차지한 총장 후보를 탈락시켰다”며 “지난 10여 년 동안 재단 측이 파행적인 대학 운영을 했다”고 했다.

또 “교수평의회는 2021년 11월 이사회에 전민현 총장 논문 부실 검증 책임자들을 고발했으나 단 한 줄의 답변도 전해오지 않았다”며 “이사회는 임명권자로서, 사립학교법 제61조에 따르면 총장 등 교원에 대해 징계 권한뿐 아니라 징계 의무도 지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방임은 직무 유기이다”고 주장했다.

이 밖에 학교 기본재산과 관련한 매도, 증여, 교환 등에 대해서는 교육부의 허가를 받아야 했지만, 재단은 이런 절차를 받지 않은 점을 문제로 삼았다.

인제대 교수평의회 관계자는 “금일 입장 발표를 시작으로 지속해 인제학원의 부당한 운영방식을 대외적으로 알릴 것이다”고 했다.

이날 인제학원 운영방식에 문제를 제기한 학내 단체는 인제대 교수평의회, 인제대 의과대학 서울백병원 교수협의회, 전국교수노동조합 인제대 지회, 인제대 의과대학 교수노동조합, 인제대 서울백병원 교수노동조합 등이다.

인제학원은 지난 6월 20일 서울백병원 폐원을 결정하면서 내부 갈등이 시작됐다.

앞서 서울백병원 폐원을 결정한 이사회의 판단 효력을 중단해달라며 교수와 직원들이 낸 가처분 심문이 지난 16일 종결됐다. 다음 달 중에 법원의 판단이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문경근 기자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