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 저감 인공강우 장기 투자 필요”

“미세먼지 저감 인공강우 장기 투자 필요”

신형철 기자
입력 2019-02-25 22:38
업데이트 2019-02-26 02: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브런치에스 WMO기후변화위원장 밝혀

“연구조사만 5~10년 해야 성과 나는데
한국에 올 때마다 담당 과학자 바뀌어”

“한국에 도착하자마자 받은 문자가 ‘미세먼지 저감조치 시행’이었다. 이런 정책을 시행할 정도로 한국이 미세먼지 저감에 관심이 있다는 걸 안다. 하지만 인공강우로 미세먼지를 없애려는 시도가 국제적으로도 불과 20년밖에 안 됐다는 사실도 알아야 한다.”

25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설훈 더불어민주당 의원 주최로 열린 ‘미세먼지 저감대책, 우리나라 인공강우 기술 어디까지 왔는가’라는 토론회에 참석한 유엔 산하 세계기상기구(WMO)의 룰라프 브런치에스 대기기후변화위원장은 “인공강우는 지역과 계절 등에 따라 다른 결과를 낼 수 있어 실험 조건을 한국 상황에 맞출 수 있어야 한다”며 이렇게 말했다.

브런치에스 위원장에 이어 발제자로 나선 데이비드 딜린 노스다코타 주립대 기상과학부 교수도 실험을 통해 한국에 맞는 인공강우 기술을 개발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그는 “도시와 지방의 인공강우 실험은 다른 형태일 수밖에 없다”며 “이 둘이 어떻게 다른지 관측해야 하는데, 이는 오랜 시간이 걸리는 일”이라고 설명했다.

브런치에스 위원장은 ‘인공강우가 미세먼지 저감에 효과적인가’라는 질문에 “막대한 비용과 시간이 들어가는 재생에너지 개발과 비교하면 인공강우는 확실히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라며 “이론적으로 어렵지 않고, (미세먼지를 없앨 수 있는) 기술도 충분하다”고 강조했다.

김종석 기상청장도 “인공강우 실험이 단기적으로 실패하더라도 투자를 계속하겠다”고 밝혔다. 김 청장은 “미세먼지 저감 효과가 확실치 않아 굉장히 부담되기도 한다”며 “브런치에스 위원장이 말한 대로 미세먼지 저감 효과가 있다고 예상하고 끊임없이 연구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브런치에스 위원장은 인공강우에 대한 장기적인 투자가 필요하다는 점도 주문했다. 그는 “인공강우는 연구조사 사업만 최소 5~10년을 해야 성과가 나온다”며 “이번이 네 번째 한국 방문인데, 올 때마다 담당 과학자가 바뀌어 안타깝다”고 꼬집었다.

신형철 기자 hsdori@seoul.co.kr
2019-02-26 17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