벚나무 가로수 피해 비상…‘벚나무사향하늘소’ 확산

벚나무 가로수 피해 비상…‘벚나무사향하늘소’ 확산

박승기 기자
박승기 기자
입력 2019-07-30 11:32
업데이트 2019-07-30 11: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노령목 많은 지역 심각, 고사목 제거해야

최근 가로수 등으로 수요가 늘고 있는 왕벚나무에 침입해 고사시키는 벚나무사향하늘소 피해가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국내에는 벚나무사향하늘소를 잡을 수 있는 살충제가 개발되지 못해 방제에 비상이 걸렸다.
벚나무 가로수를 고사시키는 벚나무사향하늘소 피해가 확산되고 있다. 국내에는 방제약제가 없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 국립산림과학원 제공
벚나무 가로수를 고사시키는 벚나무사향하늘소 피해가 확산되고 있다. 국내에는 방제약제가 없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 국립산림과학원 제공
30일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에 따르면 도로변에 식재된 왕벚나무에 대한 벚나무사향하늘소 피해 조사결과 성충 활동기와 산란기인 7월 현재 전국에서 피해가 확인되고 있다. 서울뿐 아니라 경기 고양·여주, 충남 부여, 경북 안동 등 왕벚나무 노령목이 많은 지역에서 피해가 크다. 벚나무사향하늘소는 벚나무를 포함한 장미과 수목과 감나무·참나무류·중국굴피나무·사시나무 등 다양한 수종에 피해를 주고 있다. 성충 몸길이가 25~35㎜인 대형 하늘소이며 전체적으로 광택이 있는 검고 앞가슴등판의 일부가 주황색을 띤다.

성충은 7월 초순에 발생해 8월 말까지 활동하며 줄기나 가지의 수피 틈에 1~6개의 알을 산란하고 10일 정도 후 유충이 부화한다. 유충은 수피 아래 형성층과 목질부를 피해를 준다. 배출된 목설은 줄기와 지재부에 쌓여 확연하게 구분된다.

벚나무사향하늘소는 한국(제주도 제외)을 포함해 중국·몽골·베트남·대만·러시아 등에 서식하며 2012년 중국에서 일본으로 침입해 벚나무 등 장미과 수목에 큰 피해가 발생했다. 일본은 2018년 1월 특정외래생물로 지정, 관리하고 있다.

산림과학원은 국내에 방제약제가 없는 점을 고려해 벚나무사향하늘소의 피해 특성 및 생태 연구를 통해 친환경 방제법 개발을 진행 중이다. 이상현 산림병해충연구과장은 “피해가 주로 가로수로 식재된 흉고 직경이 큰 벚나무에서 집중되고, 땅에서 1m 이상 높이에서도 피해가 발견되고 있다”며 “피해가 심각한 나무는 제거하고 성충을 제거하거나 탈출공을 막는 방제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대전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