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을 말하다-방광암(상)] 약물치료해도 배뇨장애 개선 안 되면 방광내시경검사·요세포검사 받도록

[암을 말하다-방광암(상)] 약물치료해도 배뇨장애 개선 안 되면 방광내시경검사·요세포검사 받도록

입력 2014-01-06 00:00
업데이트 2014-01-06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예방은 이렇게

흔한 비뇨기계의 이상을 배뇨장애 증상이라고 여겨 방광암을 키우는 사람이 적지 않다. 소변을 자주 보거나 소변을 보고 난 후에도 시원한 느낌이 들지 않는 증세가 일반적으로 배뇨장애에서 나타나는 증상과 비슷하기 때문이다. 이런 탓에 평소 전립선비대증 등 배뇨장애라고 믿고 약물치료를 받다가 증상이 개선되지 않는 것은 물론, 급기야 소변에 피가 섞여 나올 때에야 병원을 찾았다가 방광암 진단을 받는 사례도 드물지 않다. 안타깝게도 이런 경우라면 방광을 모두 제거하는 수술을 받아야 할 만큼 암세포가 광범위하게 퍼져 있기 쉽다. 실제로 전체 방광암 환자의 10%는 이런 전이성 방광암 상태에서 발견된다.

문제는 몸의 이상을 ‘나이 탓’으로 치부하는 안일함이다. 나이가 들면서 생기기 쉬운 남성의 전립선비대증이나 여성의 요실금 등 배뇨장애를 단순한 노화 현상으로 여겨 방광암일 때도 나타날 수 있는 빈뇨·급박뇨·배뇨통 등 방광 자극 증상에 무심해지는 것.

그러나 이런 증상은 방광암에서도 흔히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약물치료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나아지지 않는 배뇨장애 증상이 있다면 지체하지 말고 전문의를 찾아 방광내시경검사와 요세포검사를 받아 보는 것이 현명하다.

이동현 교수는 배뇨장애 증상을 주의 깊게 살필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 교수는 “특히 오랫동안 흡연을 해 온 남성이 35세를 넘겼고, 배뇨장애 증상이 있다면 평소 소변 색깔을 면밀하게 살펴야 한다”면서 “만약 특별한 통증 없이 소변에 피가 비친다면 혈뇨의 양에 상관없이 방광암을 의심해 검사를 받아 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특히 겨울철이면 빈뇨 증상이 더 심해지지만 한사코 진료를 기피한 채 약만 복용할 경우 방광암의 중요한 신호를 놓치기 쉽다는 점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심재억 전문기자 jeshim@seoul.co.kr

2014-01-06 25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