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진단후 담배 못끊은 환자 40%이상 흡연사실 숨겨

암진단후 담배 못끊은 환자 40%이상 흡연사실 숨겨

입력 2014-01-22 00:00
업데이트 2014-01-22 11:3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세심한 대화로 금연치료 도움 줘야”

암 진단을 받고 나서도 담배를 못 끊은 환자 10명 중 4명 이상은 죄책감과 비난으로 흡연 사실을 가족이나 의료진에게 숨겼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신동욱 교수와 국립암센터 암정책지원과 박종혁 과장 연구팀은 2011년 암환자­가족 990쌍을 대상으로 환자의 암진단 후 흡연에 관한 심리적 어려움(죄책감, 비난, 흡연 사실 숨김)을 조사해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2일 밝혔다.

연구팀은 암진단 후에도 한 달 이상 흡연한 환자(45명)와 보호자(151명)에게 죄책감이 들었는지, 주위의 비난을 받았는지, 흡연 사실을 주위에 숨겼는지 등을 물어봤다.

그 결과, 환자의 75.6%는 가족에게 죄책감을 느꼈고, 77.8%는 가족으로부터 비난을 받은 적이 있다고 답했다.

이런 심리적 부담으로 환자의 44.4%는 가족에게, 46.7%는 의료진에게 흡연사실을 숨겼다.

환자 가족도 비슷했다. 환자 가족의 63.6%는 환자에게 죄책감을 느꼈고, 68.9%는 환자로부터 비난을 받은 적이 있다고 대답했다. 환자 가족의 28.5%는 환자에게, 9.3%는 의료진에게 흡연 사실을 감췄다.

신동욱 교수는 “담배 피운다고 막연하게 비난하기보다는 세심한 대화로 심리적 부담을 줄여주고, 적절한 금연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도움을 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인 정신종양학(psycho-oncology) 최신호에 실렸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