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년생 올해 생일 이후 충치 치료받으면 비용 4배↑”

“2006년생 올해 생일 이후 충치 치료받으면 비용 4배↑”

김태이 기자
입력 2019-01-12 10:38
업데이트 2019-01-12 10: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올해부터 만 12세 이하까지 충치 건보 적용

2006년생 자녀를 둔 부모라면 올해 아이의 생일이 지나기 전에 충치 치료를 받도록 하는 게 좋다. 올해부터 복합레진을 활용한 충치 치료에 건강보험이 적용되지만 만 12세 이하에 한정되기 때문이다.

12일 치과계에 따르면 올해부터 생일 기준 만 13세가 되기 전까지 어린이의 영구치에서 발생한 충치에 광중합형 복합레진 충전을 받을 경우 건강보험이 적용된다. 건강보험이 적용되면 환자 본인 부담이 치아 1개당 7만~14만2천원(평균 약 10만원)에서 2만5천원 안팎으로 줄어든다.

레진치료는 치아 색과 유사하게 마무리하는 충치 치료 방식으로, 환자 선호도가 높은 시술이다. 대부분의 치과에서는 충치 치료 시 복합레진에 광중합형 조사기를 사용해 더 빨리 굳히는 방식을 쓴다. 이 때문에 광중합형 복합레진 충전 건보 급여는 환자에 실질적인 혜택이 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만 12세 이하에 한정되므로 같은 2006년생이더라도 건강보험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기한이 달라진다.

예를 들어 2006년 2월 1일 태어난 경우 올해 1월 한 달간은 보험적용을 받을 수 있지만 만13세가 되는 2월 1일부터는 기존 비보험 수가를 적용받게 된다. 비보험으로 광중합형 복합레진 치료를 받게 되면 건보가 적용됐을 때보다 평균 4배 이상의 치료비를 내야 한다.

이 때문에 2006년생 아이를 둔 부모는 올해 아이의 생일이 지나기 전에 충치 여부를 확인하고 치료를 서두르는 게 좋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이재윤 대한치과의사협회 홍보이사는 “약 10만원 정도 하던 레진 치료비가 건강보험 적용으로 환자의 부담을 줄이게 됐다”며 “단 젖니는 포함되지 않으며, 만 12세 이하 나이 제한이 있다는 사실을 유념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