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사 원하지만… 법정 대결 피해야” 변호사들, 로펌 향한 복잡한 속내

“입사 원하지만… 법정 대결 피해야” 변호사들, 로펌 향한 복잡한 속내

박상연 기자
박상연 기자
입력 2023-04-12 18:30
업데이트 2023-04-13 06: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로스쿨 등 영향 법률시장 포화
대형로펌 영향력 갈수록 커져
변호사 모여 로펌 창립 ‘자구책’

이미지 확대
대형 로펌을 바라보는 개인 변호사들의 감정은 복합적이다. 기존엔 서로 분야가 달라 개인 변호사들이 자신이 맡은 사건으로 대형 로펌과 대결할 일은 거의 없었다. 하지만 최근 법률시장이 로펌 위주로 재편되면서 개인 변호사들에게 대형 로펌은 ‘입사’하고 싶은 회사이면서 법정에선 만나고 싶지 않은 존재가 됐다.

특히 2012년부터 로스쿨(법학전문대학원) 출신 변호사들이 배출되기 시작하고 법률시장이 레드오션으로 변해 가면서 대형 로펌의 영향력이 더 커졌다는 것이다.

13년차 변호사인 정경일 변호사는 12일 “변호사 시장이 큰 법인 중심으로 개편되고 있다”면서 “대형 로펌을 중심으로 전문 특화 분야를 점차 확대해 나가는 과정에 있는 것 같다”고 짚었다. 그러면서 “의뢰인들도 인지도 높은 개인 변호사가 아니면 사건을 맡기기 불안해하고 대형 로펌에 더 신뢰를 가지는 편”이라고 덧붙였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개인 변호사로 개업했다가 사무실을 정리하고 로펌에 들어가는 이들도 적지 않다. 10년차인 정준영(법무법인 해주) 변호사는 “최근 변호사 시장이 많이 어려워지면서 로펌으로 들어가는 변호사들을 심심찮게 본다”면서 “신입 변호사를 뽑을 때도 개인 법률사무소는 기피하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변호사들은 대형 로펌의 강점으로 인력과 자금 여력이 풍부하다는 점을 손꼽는다. 7년차 한 변호사는 “대형 로펌은 제출하는 서면 양이 방대하고 그 안에 많은 주장과 증거 자료를 담다 보니 소규모 로펌이나 개인 변호사가 단시간에 이를 다 숙지하고 반박하는 등 대응하기가 여간 까다로운 게 아니다”라고 말했다.

개인 변호사들이나 소형 로펌이 대형 로펌과의 차별화 전략을 꾀하는 시도도 적지 않다. 11년차 최인한(법률사무소 희도) 변호사는 “최근 2~3년간 개인 변호사들이 모여 로펌을 꾸리는 곳이 많이 생겼다”면서 “다들 전략은 다르겠지만, 재개발·성범죄 등 특정 분야의 전문성을 높이거나 몇몇 지역 영업을 하는 사례도 있다”고 설명했다.
박상연 기자
2023-04-13 3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