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게임의 시간지연 없애는 기술 나왔다

온라인 게임의 시간지연 없애는 기술 나왔다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19-07-01 11:59
업데이트 2019-07-01 11:5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픽사베이 제공
픽사베이 제공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 슈팅 게임, 롤플레잉 게임 등 온라인 게임을 한 번이라도 해본 사람이라면 갑자기 게임 속도가 느려져 당황했을 때가 있을 것이다. 갑자기 느려진 속도 때문에 예상치 못하게 적의 공격을 받거나 장애물에 부딪쳐 게임 캐릭터가 죽는 상황에 닥치면 화가 치밀어오르기도 한다. 그런데 과학자들이 이런 온라인 게임에서 나타나는 지연현상을 없애는 기술을 개발해 주목받고 있다.

카이스트 문화기술대학원과 핀란드 알토대 공동연구팀이 게임의 겉보기 형태를 변화시켜 게임 속 레이턴시 효과, 일명 랙을 없앨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일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지난 5월 열린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분야 국제학술대회 ‘CHI 2019’에서 발표됐다.

랙은 장치, 네트워크, 프로세싱 등 다양한 요인으로 발생하는 지연 현상이다. 사용자가 마우스나 키보드로 입력을 했을 때 모니터 화면으로 가시적으로 나타나는 출력이 나타날 때까지 시간이 걸리는 것이 대표적이다. 실시간성이 주요한 게임에서 랙은 게임자의 플레이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이 때문에 온라인 게임에서는 ‘페이버링 더 슈터’라는 방식으로 지연 현상을 보상한다. 페이버링 더 슈터는 250밀리초(ms, 1000분의 1초) 이하 네트워크 지연이 있을 경우 플레이어가 화면에서 본 내용을 토대로 입력을 한 내용을 우선시한다는 규칙이다. 지연 현상을 보상해준다고는 하지만 상대 플레이어는 자신이 본 화면과 다른 게임 결과를 나타나기 때문에 또 다른 불편함을 느끼게 한다.

연구팀은 지연이 나타나더라도 게임자의 본래 실력으로 게임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보정 기술을 개발했다. 보정 기술은 지연 상황에 따라 게임 속 장애물의 크기 같은 디자인 요소를 변화시켜 레이턴시가 있음에도 레이턴시가 없는 것처럼 느껴지는 환경에서 게임할 수 있도록 했다.

연구팀은 지연현상이 플레이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게이머의 행동을 예측하는 수학적 모델을 만들어 내 사용자의 성공률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모델을 활용해 게임 환경에 지연이 발생할 경우 플레이어의 과업 성공률을 예측해 레이턴시가 없는 환경에서 게이머의 성공률과 비슷한 수준으로 만들기 위해 디자인 요소를 변형시킨 것이다.

연구팀은 ‘플래피 버드’라는 게임에서 장애물인 기둥의 높이를 변형시켜 지연현상이 나타나더라도 게이머의 플레이 실력을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병주 카이스트 교수는 “이번 기술은 기존에 지연현상 양만큼 게임 시계를 되돌려 보상하는 기존의 보상방법과는 다른 비간섭적 지연현상 보정기술로 게임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게이머들의 불만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유용하 기자 edmondy@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