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중국이 한 일 보니 ‘화들짝’ [달콤한 사이언스]

지난해 중국이 한 일 보니 ‘화들짝’ [달콤한 사이언스]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23-01-14 13:00
업데이트 2023-01-14 13: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美 ‘2022 우주 로켓 발사’ 분석보고서 공개
스페이스X 지난해 61회 로켓 발사...주당 1회꼴
中, 러시아 제치고 ‘제2의 우주강국’ 자리매김

이미지 확대
미국항공우주국(NASA)는 오는 11월 16일 유인 달탐사 프로젝트인 ‘아르테미스’의 일환으로 대형 우주로켓 ‘SLS’를 발사할 예정이다. 네이처 제공
미국항공우주국(NASA)는 오는 11월 16일 유인 달탐사 프로젝트인 ‘아르테미스’의 일환으로 대형 우주로켓 ‘SLS’를 발사할 예정이다.
네이처 제공
최근 몇 년 동안 많은 나라들이 우주 탐사에 나서고 있다. 이런 가운데 지난해 최다 우주 로켓 발사가 이뤄졌다는 놀라운 통계가 나왔다.

전 세계 우주비행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미국 하버드-스미소니언 천체물리학센터는 최근 ‘2022 우주 로켓 발사’라는 분석보고서를 발표했다고 세계적인 과학저널 ‘네이처’가 13일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에는 180회의 로켓 발사가 성공했으며 이는 전년보다 44회나 늘어난 수치이다. 이 같은 우주 로켓 발사는 미국의 민간우주기업 스페이스X와 중국이 주도한 것으로 분석됐다.

스페이스X는 1년 동안 평균 6일에 한 번꼴로 팰콘 우주발사체를 발사했다. 지난 한 해 동안 총 61회의 발사를 했는데 이는 구 소련의 R-7로켓의 1980년 발사 기록과 같은 것이다. 스페이스X가 지난해 발사한 로켓에는 자체 스타링크 통신위성을 포함해 상업용 탑재체들이 실렸다. 지난해 8월 발사된 한국 첫 달 탐사궤도선 ‘다누리’ 역시 스페이스X의 팰콘9에 실려 올라갔다.
이미지 확대
[cms test]지구 저궤도 위성으로 ‘붐비네’
[cms test]지구 저궤도 위성으로 ‘붐비네’ 지구 저궤도의 위성 트래픽이 2020년 이후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스페이스X의 스타링크 네트워크 프로젝트 때문인 것으로 확인됐다.
네이처 제공
스페이스X의 스타링크 네트워크 프로젝트는 수많은 인공위성을 띄워 오지까지 고속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현재 스페이스X가 우주에 띄운 통신용 위성은 3300개 이상으로 알려져 있다. 문제는 이들 위성으로 인해 우주 공간의 트래픽이 증가해 2020~2022년에 스페이스X는 우주의 다른 물체와 충돌 방지를 위해 2만 6000번 이상 위성 위치를 조정했다. 스페이스X 이외에 다른 미국 민간 우주기업도 지난해 17번의 로켓 발사를 수행했다.

그러나 이번 분석에서 가장 주목되는 부분은 중국의 부상이다. 중국은 지난해에 2021년과 비교해 9번이나 더 많은 62회의 우주 발사를 성공했다. 대부분이 중국 정부 소속 국가항천국에서 발사한 것이지만 민간 우주기업들의 참여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전체 발사 횟수만 따지더라도 미국과 함께 전통적인 우주 선진국으로 꼽힌 러시아의 세 배에 이르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러시아산 소유즈 로켓 발사가 사실상 중단됐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미지 확대
[cms test]지난해 어느 나라가 로켓 많이 쐈나 봤더니...
[cms test]지난해 어느 나라가 로켓 많이 쐈나 봤더니... 지난해 우주발사체 발사가 가장 많은 나라는 미국, 그 다음으로 중국이 바짝 따라 붙고 있다.
네이처 제공
유럽의 2022년 발사 횟수는 5회로 2021년의 3분의1 수준으로 급감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뉴질랜드가 지난해 9차례나 우주로켓을 발사했다는 것도 주목해야 한다고 보고서는 밝혔다.

한편 올해는 지난해보다 더 많은 로켓이 우주의 문을 두드릴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스페이스X는 올해 우주 로켓 발사 횟수를 100회로 잡고 있다. 여기에 미국항공우주국(NASA)까지 가세했다. 나사는 몇 년 내에 인간을 달에 데려다 놓기 위한 아르테미스 프로젝트를 위해 개발한 차세대 대형 우주로켓 SLS를 오는 11월 14일 발사할 계획을 갖고 있다. 이로써 올해도 미국은 우주 선진국의 타이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분석을 이끈 조나단 맥도웰 박사는 “최근 들어 우주 트래픽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며 “지난해에 또 주목해야 할 부분은 중국이 러시아를 대체한 제2의 우주강국으로 자리잡고 있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