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농구] 핸드볼 점수? 프로농구 ‘득점 기근’

[프로농구] 핸드볼 점수? 프로농구 ‘득점 기근’

입력 2010-01-19 00:00
업데이트 2010-01-19 00: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점수가 안 나도 너무 안 난다.

2009~10 프로농구가 유례없는 득점기근 현상에 시달리고 있다. 연일 최소득점 기록이 쏟아진다. 라운드가 거듭될수록 더욱 심해지고 있다. 5라운드 들어 평균 득점은 더 떨어져 4쿼터를 넘어서도 50점대 득점을 기록하는 경우가 자주 보인다. 한 쿼터에 10점을 못넣는 경기도 여러번 나왔다. 한 농구인은 “농구인지 핸드볼인지 구분이 안 된다.”는 자조까지 내뱉었다.
이미지 확대


지난 15일 잠실학생체육관에서 열린 SK-동부전. 각종 기록이 한꺼번에 나왔다. 동부는 이날 1쿼터 4득점했다. 팀 역사상 한 쿼터 최저득점 기록. 두 팀은 4쿼터까지 52-52로 비겼다. 득점 합계 104점. 역대 4쿼터 종료 시점까지 최소득점 기록이다. 이어진 연장전. 동부는 연장전 무득점했다. 팀 최초, 프로농구 역대 두 번째 기록이다.

기록은 전날도 나왔다. 인천에서 벌어진 전자랜드-KT&G전. 전자랜드가 57-52로 KT&G를 눌렀다. 두 팀 득점 합계는 109점. 한 경기 두 팀 최소득점 신기록이다. KT&G는 18일 전까지 3경기 연속 50점대 득점을 기록하고 있다. 지난 7일에는 오리온스가 KT&G전에서 47득점했다. 역대 한 팀 최소득점 기록이다. 지난해 12월1일 SK는 역시 KT&G전에서 1·2쿼터 16득점해 역대 전반 최소득점 기록을 세웠다.

이런 저득점 현상은 왜 나타났을까. 한 프로팀 감독은 “선수층을 고려하지 않은 무리한 일정이 가장 큰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올 시즌 프로농구 리그는 6라운드 54경기 체제다. 일단 경기수가 많다. 삼성 안준호 감독은 “질적으로 높은 수준의 경기를 하려면 경기수를 줄여야 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특히 올 시즌은 예년보다 빨리 끝난다. 프로야구 개막과 겹치는 걸 피하기 위해서다. 그런 만큼 경기 일정은 더욱 촘촘하게 짜였다. 4일 동안 3경기. 9일 동안 5경기 등 연전이 이어진다. 선수들의 체력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다. KT 전창진 감독은 “실력이 아니라 휴식 일정이 성적의 최대 변수”라고 까지 했다.

다른 이유도 있다. 올 시즌부터 용병은 한 명만 경기에 나설 수 있다. 득점력 좋은 용병이 빠진만큼 평균득점도 줄어들 수밖에 없다. 공백을 메워야 하는 국내 선수들 체력부담도 더욱 커졌다. 3점슛 거리 변화도 영향을 미쳤다. 2-3라운드를 지나며 성공률이 높아지는 듯했지만 다시 떨어지고 있다. 한 농구전문가는 “평상시라면 문제될 게 없다가도 체력이 떨어지면 작은 거리 변화도 큰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했다.

문제는 이런 현상이 계속 심화되고 있다는 점이다. 올 시즌 평균 득점은 현재까지 79.0점. 프로농구 사상 처음 70점대 진입이다. 그러나 더 떨어질 가능성이 크다. 1라운드 82.4점이던 평균득점은 5라운드 현재 70.8점을 기록하고 있다.

박창규기자 nada@seoul.co.kr
2010-01-19 28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