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돋보기] 카드 꺼내야만 심판권위 서나

[스포츠 돋보기] 카드 꺼내야만 심판권위 서나

입력 2010-04-27 00:00
업데이트 2010-04-27 00: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야구, 농구, 축구.’ 대표적인 3대 프로 스포츠다. 세 종목 모두 심판은 선수를 퇴장시킬 수 있다. 야구는 한 선수가 퇴장당해도 다른 선수가 타격과 수비를 대신한다. 농구도 마찬가지로 5대4로 싸우는 경우는 없다.

그래서 가끔 야구에서는 팀의 침체된 사기와 단결을 북돋우려고 선수들이 퇴장을 각오하고 심판에게 덤빈다. 억울한 퇴장 뒤 마스크를 벗어 던졌던 포수 강민호(롯데)의 모습도 2008 베이징올림픽의 추억 중 하나다. 농구에선 반칙도 작전이라고 할 정도다.

축구는 다르다. 한 명이 퇴장당하면 10대11로 싸워야 한다. 승부는 급격히 기운다. 수적 열세에 놓인 팀은 수비적인 플레이를 하게 된다. 동료를 내쫓은 얄미운 심판이 경기 종료 휘슬을 불 때까지 1명의 공간을 메우기 위해 심장이 터지도록 뛰어야 한다. 체력이 고갈돼 움직임이 느려지기라도 하면 수적 우위를 바탕으로 끊임없이 몰아치고도 아직 체력이 남은 상대에게 골을 내주게 된다. 더욱이 동점 상황에서 주심의 페널티킥 선언은 치명적이다. 그래서 ‘심판 판정도 경기의 일부’라는 말이 나왔다. 축구가 다른 종목보다 냉철하고 정확한 심판의 판단을 요구하는 이유다.

그런데 요즘 K-리그에선 심판 판정을 놓고 말이 많다. 특히 원정팀의 불만이 높다. 지난 3일 포항 레모스 감독, 18일 경남 조광래 감독, 25일 전남 박항서 감독이 불만을 터트렸다. 그나마 서울 빙가다 감독은 하대성과 김진규가 퇴장당했지만 말을 아꼈다.

원정 팀은 신경이 날카로울 수밖에 없다. 홈 팬들의 응원도, 장내 방송도 귀에 거슬린다. 이런 상황에서 심판이 납득하기 어려운 판단을 내린다면, 선수는 한번쯤 항의해 볼 수 있다. 이런 항의에 심판은 모두 카드를 꺼내야만 권위가 서는 것일까. 옐로카드를 두 번 연속 받으면 퇴장당하는데도 말이다. 짧은 시간이지만 반칙 상황을 대화로 풀다 보면 “발이 아닌 공을 보고 들어갔다.”는 궁색한 변명을 하던 선수가 입을 다물기도 한다. K-리그보다 격렬한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에서도 선수가 항의한다고 무조건 카드를 꺼내 들지 않는다. 올해 K-리그 경기당 옐로카드는 5.41장이다. 프리미어리그 2009~10시즌은 3.27장에 그친다. 프리미어리그보다 K-리그 심판의 권위가 2장 이상 높다고 할 수 있을까. 정치와 마찬가지다. 지지와 동의가 아닌 강압으로 얻는 것은 권위가 아니다. 권력일 뿐이다.

장형우기자 zangzak@seoul.co.kr
2010-04-27 27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