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포 vs 교타자’ 스윙 메커니즘 차이는

‘거포 vs 교타자’ 스윙 메커니즘 차이는

입력 2010-04-27 00:00
업데이트 2010-04-27 01: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스윙각도 클수록 ‘장타’ 날린다

포물선을 그리며 담장을 넘어가는 홈런은 야구의 꽃이다. 이 한 방에 경기 흐름은 바뀌고 팬들은 열광한다. 그래서 프로야구 고액연봉 타자들은 대부분 거포다. 홈런의 가치는 그만큼 크고 소중하다. 그러나 홈런은 양날의 검이다. 거포들은 삼진이 많고 타율이 안 좋다. 왜 그럴까. 단지 배트를 크게 혹은 세게 휘둘러서 그런 걸까. 결론은 아니다. 다른 이유도 있다. 홈런 타자와 타율 높은 타자들은 스윙 메커니즘 자체가 다르다. 비밀은 배트 궤적의 각도다. 두 유형 타자들의 스윙이 어떻게 다른지 분석해 보자.

●홈런타자 가르시아는 ‘삼진왕’

이미지 확대
지난해 대표 ‘삼진왕’은 롯데의 카림 가르시아였다. 삼진 124개를 당했다. 타율은 .266에 그쳤다. 홈런은 29개였다. 모 아니면 도였다. 가르시아는 전형적인 홈런타자형 스윙을 구사했다. 걷어 올려 치는 어퍼스윙이다. 아래에서 위로 향하는 배트 궤적 각도는 20도에서 23도 사이였다.

롯데 김무관 타격 코치는 “스윙의 각도가 너무 크기 때문에 공을 제대로 맞히기가 힘들었다. 대신 맞히면 큰 타구가 나왔다.”고 평가했다.

스윙 궤적 각도가 커지면 타구의 궤적도 함께 커진다. 미국 예일대 물리학과 로버트 어데어 교수가 쓴 ‘야구의 물리학’에 따르면 배트에 공이 제대로 맞을 경우, 10도의 상향각도가 더해질 때마다 타구는 16도 정도 더 궤도가 높아지게 된다. 즉 가르시아가 20도 각도로 스윙하면 타구는 26도 각도로 날아간다. 자연히 큰 타구가 나온다.

대신 정확성은 떨어진다. 배트가 아래에서 위로 향하기 때문에 타이밍이 빠르면 날아오는 공의 아랫부분이 맞게 된다. 뜬공이다. 반면 타이밍이 늦으면 공의 윗부분이 맞는다. 땅볼이 나온다. 타이밍이 정확하게 맞아야만 좋은 타구가 나온다.

●수평타법 타이밍 안맞아도 안타

이미지 확대
지난 시즌 타격왕 LG 박용택의 스윙 궤적의 각도는 가르시아보다 훨씬 작다. 평균 8~10도 정도다. 소위 수평타법이다. 스윙을 위해 배트를 내린 이후 거의 수직으로 궤적을 그린다. 타구는 상향각 없이 쭉 뻗는 라인드라이브가 나온다.

이 경우 타이밍과 상관없이 안타를 만들 가능성이 높아진다. 타이밍이 빠르든 늦든 배트의 중심에 맞는다. 대신 타구의 방향만 달라진다. 타이밍이 빠를 경우 1·2루 사이를 지나 우익수 쪽으로 뻗어 나간다. 늦게 맞으면 좌익수 쪽으로 날아간다. 정확한 타이밍에 맞으면 내야수를 살짝 넘기는 중견수 쪽 라인드라이브가 나온다. 자연히 삼진이나 범타가 줄어들고 타율은 높아지게 된다. 대신 홈런이 나올 확률은 적어진다.

이에 대해 LG 서용빈 타격코치는 “특별히 노리는 구질이 없어도 공이 스윙 사정권 안에 들어오면 안타를 만들어 낼 수 있는 메커니즘이다. 타구 방향은 부챗살처럼 펴지게 된다.”고 했다.

물론 홈런 타자와 교타자의 힘 차이도 무시할 수 없다. 같은 각도로 공을 때린다면 힘 좋은 타자의 타구가 더 멀리 갈 수밖에 없다. 야구는 종합 과학이다.

박창규기자 nada@seoul.co.kr
2010-04-27 28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