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LG, 김동주에 뭉칫돈 푸나

롯데·LG, 김동주에 뭉칫돈 푸나

입력 2011-11-22 00:00
업데이트 2011-11-22 00: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보상금 최대 21억원이 관건

이미지 확대
김동주
김동주
프로야구 스토브리그가 과열 양상이다. 원 소속구단과의 자유계약선수(FA) 우선 협상 기간인 지난 19일까지 9명이 계약했다.

이튿날 곧바로 이어진 나머지 7개 구단과의 FA 2차 협상 첫날, 3명이 전격적으로 도장을 찍었다. 해외 진출을 선언한 이대호와 정대현을 제외한 6명 가운데 이택근이 넥센으로, 송신영(이상 전 LG)이 한화로, 임경완(전 롯데)이 SK로 둥지를 옮겨 틀었다.

이처럼 속전속결로 타 구단으로의 이적이 성사된 것은 이례적이다. 이들이 그동안 물밑 접촉을 해왔다는 의혹을 살 정도다.

17명이 FA를 신청한 것은 역대 최대 규모다. 하지만 절반 이상이 원 구단에 안주했고 일부가 해외 진출을 꿈꾸면서 사실상 시장 물량이 크게 줄어 과열 양상을 띠는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프로야구 인기가 폭발하면서 각 구단의 씀씀이가 커진 것도 한몫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21일 현재 미계약 상태로 남은 선수는 김동주(35·전 두산)와 조인성(36·전 LG), 이승호(30·전 SK 20번) 등 단 3명이다. 이들이 타 구단과 계약할 수 있는 기간은 다음 달 9일까지다. 개인 능력과 달아오른 FA 판세를 감안할 때 이들의 행보에 관심이 쏠릴 수밖에 없다.

김동주는 타고난 파워에 정교함까지 갖춘 간판 타자로 두산의 상징 같은 존재다. 조인성 또한 오랜 세월 LG 안방을 든든히 지켜 존재감은 뚜렷하다. 당장 어느 팀에서 뛰어도 몸값은 충분히 해낼 ‘물건’이어서 더욱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둘은 30대 중반에 접어든 데다 몸값이 비싼 게 흠이다.

FA 선수를 영입하는 구단은 전 소속구단에 올해 FA 선수 연봉의 300%, 또는 연봉 200%+보호선수 20명 이외 선수 1명을 보상해야 한다. 김동주는 올해 연봉킹(7억원)이다. 그를 잡는 구단은 최대 21억원을 보상해야 한다. 조인성의 올 연봉은 5억원이다. 때문에 둘은 결국 원 소속 구단과 계약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두산과 LG도 조급해하지 않는다.

다만 이대호를 놓친 롯데와 이택근·송신영을 잃은 LG가 김동주 잡기에 나설 가능성이 있다. 두 구단은 준비한 두툼한 뭉칫돈을 아직 풀지 못했다. 해외진출을 꿈꾸는 이승호는 국내 협상도 추진하고 있다. 마무리 경험도 풍부한 좌완이어서 가치를 더한다. 불펜이 취약한 KIA, LG, 롯데 등의 ‘입질’이 거셀 전망이다. 이승호의 보상금이 최대 6억원에 불과해 각 구단의 구미를 더욱 돋운다.

김민수 선임기자 kimms@seoul.co.kr

2011-11-22 28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