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픽 종목별 대접 다르다

올림픽 종목별 대접 다르다

입력 2013-05-31 00:00
업데이트 2013-05-31 00: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16 수익금’ 배분비율 확정

레슬링과 스쿼시, 야구·소프트볼 가운데 한 종목이 2020년 여름올림픽 정식종목으로 추가될 길이 열렸지만 올림픽 정식 종목이 모두 동등한 ‘몸값’을 챙기는 건 아니다.

국제올림픽위원회(IOC)는 30일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열린 집행위원회 결과,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올림픽에서 벌어 들일 중계권 수입을 26개 종목별로 배분하는 비율을 확정했다. 지난해 런던올림픽에서 치러진 26개 종목의 TV 시청률 실적 등을 재평가한 뒤 2016년 리우올림픽에서 정식종목으로 도입되는 골프와 럭비를 더해 28개 종목을 다섯 등급으로 나눴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지난해 런던올림픽 중계권 수입은 4년 전 베이징 대회보다 75% 늘어난 5억 2000만달러(약 5900억원)로 각 종목의 국제경기단체에 배분됐다. 육상만이었던 A그룹에는 4700만 달러가 돌아갔다. B그룹에는 종목당 2200만 달러, C그룹과 D그룹에는 각각 1600만 달러와 1400만 달러씩이 배분됐다.

태권도는 카누·카약, 펜싱, 요트, 트라이애슬론, 레슬링 등과 함께 D그룹을 유지했다. 2000년 처음 정식종목이 된 태권도는 E그룹에서 출발해 2008년 베이징 대회부터 D그룹으로 올라와 이번에도 유지하게 됐다.

A그룹에는 B그룹에 있던 수영과 체조가 올라와 세 종목으로 늘었다. 양궁, 배드민턴, 복싱, 유도, 사격, 탁구, 역도도 D그룹에서 한 단계 올라섰다. 반면 C그룹이었던 승마, 핸드볼, 하키는 D그룹으로 한 단계 밀려났다.

임병선 기자 bsnim@seoul.co.kr

2013-05-31 29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