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기원 2기 첫 이사회부터 난장판…파행 장기화 우려

국기원 2기 첫 이사회부터 난장판…파행 장기화 우려

입력 2013-05-31 00:00
업데이트 2013-05-31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세계태권도본부 격인 국기원이 수장 자리를 비워둔 채 2기 집행부를 출범한 것도 모자라 첫 이사회를 시작조차 못 하고 끝내면서 행정 공백 사태가 장기화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를 낳고 있다.

국기원은 30일 서울시 강남구 역삼동 국기원 제2강의실에서 임시이사회를 열었다. 14명의 이사로 구성된 국기원 2기 집행부가 처음 모인 자리다.

지난 25일로 임기가 끝난 특수법인 국기원의 1기 집행부에서 네 차례나 연기된 차기 이사장 선출이 이날 회의의 목적이었다.

국기원 이사장은 재적이사 과반수 찬성으로 이사 중에서 선출하며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의 승인을 얻어 취임한다.

하지만 지난 네 차례 이사회에서도 새 이사장을 뽑지 못한데다 이 과정에서 유력 후보로 거론되던 인사들이 줄줄이 탈락하면서 인물난에 허덕여 이날도 어느 정도 파행은 예상됐다.

게다가 비공개로 진행된 회의 초반 난데없이 태권도 관련 시민단체를 표방한 곳의 대표 두 명이 들이닥치면서 회의장은 아예 아수라장이 됐다.

이들은 ‘국기원 자율성 보장’, ‘무능한 이사들의 총사퇴’ 등을 주장하며 이사들에게 쓰레기와 오물을 던지고 집기를 뒤엎었다.

이 과정에서 일부 이사, 국기원 직원과 시민단체 대표들 사이에 언성이 높아지고 몸싸움까지 있었다.

이후 일부 이사들은 국기원장실에 모여 앞으로의 대책을 논의했다. 어떤 이사는 ‘이런 상황에서 더는 직무를 이어갈 수 없다’면서 사의까지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결국 이사들은 6월 11일 같은 장소에서 다시 이사회를 열어 이사장 선출 건을 다루기로 하고 헤어졌다.

재단법인이었던 국기원은 ‘태권도 진흥 및 태권도공원 조성 등에 관한 법률’에 의해 2010년 5월 특수법인으로 새롭게 출범했다.

이때 선출된 이사장과 원장, 이사 등 임원의 3년 임기(한 차례 연임 가능)는 지난 25일로 끝났다.

국기원 정관상으로는 임기 만료 한 달 전인 지난달 25일 전에 차기 임원을 선출해야 했다.

하지만 결론없는 논의만 거듭하다가 2기 집행부는 이사장, 원장, 부원장, 연수원장 등 수뇌부가 공석인 상황에서 출범하기에 이르렀다.

현 이사 중에서는 과반 득표자가 나오기 힘들다는 목소리가 나오는데다 이사들의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혀 있어 국기원의 비정상적인 운영은 쉽게 해결되지 않을 전망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