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연아 “몸 상태 호전…12월 대회 출전 고려”

김연아 “몸 상태 호전…12월 대회 출전 고려”

입력 2013-10-30 00:00
업데이트 2013-10-30 10: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피겨 여왕’ 김연아(23)가 부상 이후 처음으로 몸의 회복 상태에 대해 입을 열었다.

김연아는 30일 서울 노원구 공릉동 태릉선수촌의 챔피언하우스에서 열린 2014 소치 동계올림픽 D-100 국가대표 임원·선수 기자회견에 참석해 “통증이 많이 사라져 이제 점프 연습도 소화할 수 있는 상태”라고 밝혔다.

30일 오전 서울 태릉선수촌 챔피언하우스에서 열린 2014 소치동계올림픽대회 D-100 국가대표 임원·선수 기자회견에서 김연아와 대표선수들이 선전을 다짐하는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뉴스
30일 오전 서울 태릉선수촌 챔피언하우스에서 열린 2014 소치동계올림픽대회 D-100 국가대표 임원·선수 기자회견에서 김연아와 대표선수들이 선전을 다짐하는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뉴스
그는 “계속 훈련해야 하기 때문에 통증이 완전히 없어지긴 어렵지만, 그래도 많이 좋아진 편”이라며 “트리플 점프도 다 소화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대회에 나가려면 단순히 점프만 뛰는 것이 아니라 전체적으로 경기에 나설 체력 등이 준비돼야 한다”면서 “전체적으로 봤을 때 70% 정도의 몸 상태”라고 덧붙였다.

2010년 밴쿠버 동계올림픽에서 역대 최고기록인 228.56점으로 한국에 사상 첫 피겨 금메달을 안긴 김연아는 이후 고민의 시간을 거쳐 소치올림픽을 자신의 마지막 무대로 만들겠다며 재도전을 선언했다.

지난 시즌 복귀전에서 가볍게 201.61점을 찍은 데 이어 올해 세계선수권대회에서 밴쿠버 당시의 최고 기록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218.31점을 획득, 올림픽 2연패 전망을 밝혔다.

그러나 마지막 무대를 화려하게 장식하려 훈련에 매진하던 중 부상이라는 시련을 만났다.

강도 높은 훈련 탓에 피로가 쌓여 오른쪽 발등뼈를 다친 것이다.

뼈에 멍이 든 정도의 가벼운 부상이라 올림픽 출전에는 문제가 없을 것으로 전망되지만, 준비 과정으로 삼으려 하던 그랑프리 시리즈는 통째로 건너뛰어야 했다.

원래 김연아는 이달 캐나다 세인트존에서 열린 그랑프리 2차 대회와 내달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5차 대회에 출전해 새 프로그램을 점검할 계획이었다.

다행히 빠르게 회복해 점프까지 소화 가능한 상태로 몸 상태를 끌어올린 만큼 김연아는 그랑프리 시리즈를 대신할 다른 대회에 나설 전망이다.

김연아는 “소치올림픽 전에 출전 가능한 대회를 고민 중”이라며 “12월 중에 B급 대회 하나를 골라 출전할 것 같다”고 앞으로 실전 감각을 끌어올릴 계획을 설명했다.

국제빙상경기연맹(ISU) 홈페이지에 공개된 대회 일정표에 따르면 12월에는 김연아가 이야기한 ‘B급 대회’가 세 차례 열린다.

지난해 출전한 바 있는 NRW트로피가 3일 독일 도르트문트에서 개막하고, 5일 골든 스핀 오브 자그레브(크로아티아 자그레브)와 18일 우크라이나 오픈(우크라이나 키예프) 등이 치러진다.

김연아는 “그동안 훈련을 완전히 쉬지 않고 부상 탓에 생긴 공백은 다른 부분으로 채워 왔으니 크게 무리가 가지는 않을 것 같다”고 말했다.

아쉽게 공개가 미뤄진 새 시즌 프로그램에 대한 설명도 덧붙였다.

김연아는 “원래 쇼트에서 강렬한 콘셉트의 프로그램을 하고, 프리스케이팅에서 서정적인 프로그램을 해 왔는데, 이번에는 반대로 프리스케이팅의 박자가 빨라 전과 달리 많은 체력이 필요할 것 같다”고 밝혔다.

아울러 “프로그램을 짠 지 시간이 꽤 지나 몸에는 익숙해졌지만 완벽하게 소화하기까지는 시간이 더 걸릴 것 같다”면서 “올림픽 때까지 꼭 완벽하게 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표”라고 계획을 전했다.

김연아는 이어 “소치올림픽은 내게 두 번째 올림픽이자 은퇴 무대가 될 것”이라며 “어느 때보다 즐겁게, 좋은 경험을 하고 싶다”고 소치올림픽에 나서는 각오를 밝혔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