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리 효과’에 KBL 3점슛 열풍, 도 아니면 모… 그 위험한 매력

‘커리 효과’에 KBL 3점슛 열풍, 도 아니면 모… 그 위험한 매력

류재민 기자
류재민 기자
입력 2019-12-25 22:12
업데이트 2019-12-26 01:5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울신문, 프로농구 3점슛 분석

이미지 확대
스테픈 커리 게티/AFP 연합뉴스
스테픈 커리
게티/AFP 연합뉴스
6029개. 한국프로농구(KBL)가 지난 24일까지 치른 124경기에서 나온 3점슛 시도 횟수다. KBL 역대 한 시즌 최단기간 3점슛 시도 6000개 돌파로, 3점슛이 확실한 공격 옵션으로 자리잡은 모양새다.

서울신문이 25일 최근 10여년간의 KBL 기록을 분석한 결과 3점슛이 급증하는 추세로 나타났다. 2011~12시즌의 3점슛 시도가 9205개로 직전 시즌 9360개에 비해 약간 줄었지만 이후 2016~17시즌을 제외하고 해마다 늘어났다. 2015~16시즌에 1만 632개로 2008~09시즌 1만337개 이후 7시즌 만에 다시 1만개를 돌파한 데 이어, 특히 2016~17시즌부터 3점슛 시도가 급증했다. 2017~18시즌에 전년에 비해 937개가 늘어난 데 이어 2018~19시즌엔 전년 대비 1357개나 폭증했다.

이번 시즌(2019~2020)도 전체 270경기 중 절반도 치르지 않은 지난 24일까지 6029개의 3점슛을 던져 지난 시즌 같은 기간보다 234개나 더 3점슛을 던졌다. 이런 추세라면 이번 시즌 전체로는 역대 최초로 3점슛 시도가 1만 3000개를 넘을 전망이다.

한국 프로농구에서 3점슛이 대세로 떠오른 건 미국 프로농구(NBA) 역사상 최고의 3점 슈터로 평가받는 스테픈 커리(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의 ‘나비 효과’로 보인다.

커리는 괴물들이 득실한 NBA에서 190.5㎝라는 상대적으로 작은 키를 3점슛으로 상쇄하며 한 시즌 최다 3점슛 등 기록을 달성했다. 커리가 2014~15시즌 정규리그 최우수선수(MVP)에 오른 데 이어 2015~16시즌에 NBA 역사상 첫 만장일치 MVP를 수상하자 3점슛은 완전한 유행이 됐다. KBL의 3점슛이 급증하기 시작한 것도 이때부터다.

그러나 KBL에서 3점슛은 늘었지만 성공률은 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0~11시즌 3점슛 성공률이 35.6%로 2010년대 들어 가장 높았지만 3점슛 시도가 부쩍 늘어난 최근 3시즌 연속 3점슛 성공률은 33.5%→32.9%→31.7%로 떨어졌다.

2점슛에 비해 정확도가 떨어질 수밖에 없는 3점슛은 슈터의 자질과 당일 컨디션에 좌우되는 만큼 잘되는 날은 최선의 공격 옵션이 되지만 그렇지 않은 날은 최악의 공격 전략이 되는 셈이다.

무작정 3점슛을 난사하다가 낭패를 본 대표적 사례가 지난 24일 안양 KGC와 전주 KCC의 경기다. KGC는 1쿼터 12개의 3점슛을 날렸지만 단 1개의 3점슛도 성공시키지 못하면서 6득점에 그친 반면 KCC는 2점에 집중해 25점(3점슛 2개 포함)을 넣었다. 2~4쿼터 KGC가 모두 더 많은 득점을 넣고도 패배한 결정적인 이유였다.
이미지 확대
KBL에서 3점슛 시도가 가장 적은 팀인 서울 SK가 2점슛에 집중하면서 선두를 달리고 있는 것도 3점슛의 효용성에 의문을 던지는 대목이다. 반면 3점슛 의존도가 가장 높았던 부산 KT는 주전 가드 허훈의 부상 이후 외곽 공격이 무뎌지면서 좀처럼 부진에서 헤어 나오지 못하고 있다.

심하게 말해 ‘도 아니면 모’의 속성을 가진 만큼 3점슛은 얼마나 절제하느냐에 그 미덕이 있다고도 할 수 있다. 현역 시절 최고의 슈터로 이름을 날렸던 ‘캥거루 슈터’ 조성원 명지대 감독은 “무작정 던져 넣기보다는 승부처에서 필요할 때 3점을 넣을 수 있어야 3점슛이 더 의미가 있게 된다”고 말했다.

류재민 기자 phoem@seoul.co.kr
2019-12-26 26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