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험도 자산… 우린 평창이 남긴 유산이죠”

“경험도 자산… 우린 평창이 남긴 유산이죠”

최병규 기자
입력 2019-07-24 17:50
업데이트 2019-07-25 03:3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광주수영선수권 MPC 운영 맡은 ‘평창 어벤저스’ 5인

이미지 확대
광주세계수영선수권대회 프레스 운영을 맡고 있는 5명의 평창동계올림픽 멤버들. 왼쪽부터 고승훈 포토 치프, 이지영 통역, 양용식 경기장 프레스 총괄, 이주선 MPC 운영 및 외신 담당, 양수형 믹스드존 감독관. 광주세계수영선수권대회 조직위 대변인실 제공
광주세계수영선수권대회 프레스 운영을 맡고 있는 5명의 평창동계올림픽 멤버들. 왼쪽부터 고승훈 포토 치프, 이지영 통역, 양용식 경기장 프레스 총괄, 이주선 MPC 운영 및 외신 담당, 양수형 믹스드존 감독관.
광주세계수영선수권대회 조직위 대변인실 제공
“‘평창 어벤저스’라고요? 너무 과분한데, 그거 맞는 표현인가요?”

개막 열사흘째를 맞은 국제수영연맹(FINA) 광주세계선수권대회가 막바지를 향해 치닫던 24일 오전 7시 광주 남부대 메인프레스센터(MPC). 외신 기자들을 담당하면서 매일 16시간 이상 운영되는 MPC 운영을 맡은 이주선(41)씨는 깊게 심호흡을 한 후 또 다른 하루를 시작했다.

이씨는 YTN 아나운서로 10년 남짓 근무한 뒤 2014년부터 평창동계올림픽 조직위원회에서 4년 동안 프레스운영팀장으로 잔뼈가 굵은 ‘스포츠 이벤트 오거나이저’다. 국제스포츠대회의 프레스 운영은 매우 전문적인 분야다. ‘미디어가 대회의 성공을 결정짓는다’는 말은 그가 올림픽 현장에서 4년 동안 배우고 몸으로 체득한 진리다.

손사래를 치지만 ‘평창 어벤저스’라는 게 사실 지나친 말은 아니다. 두 아이의 엄마이기도 한 이씨는 올림픽을 통해 배운 것을 활용해 더 수준 높은 프레스 운영을 해 보자는 포부를 품고 지난해 9월 광주행 고속열차에 올랐다. 그러나 역대 최소의 비용으로 대회를 치른다는 조직위의 열악한 현실에 곧바로 부딪혔다.

예산은 둘째 치고 세계 5대 ‘메가스포츠’를 치르는 데 필요한 전문 인력이 거의 없었다. 급기야 이씨는 대회 3개월 전 조직위가 서둘러 영입한 성백유(59) 대변인과 상의해 ‘평창 멤버들’에게 SOS를 쳤고, 팀이 급조됐다. 평창올림픽 당시 각 경기장의 프레스 운영을 총괄했던 양용식(34)씨에게 5개 경기장의 기자실 운영을 맡기고, 사진 분야 운영을 총괄했던 고승훈(31)씨를 다시 ‘포토 치프’로 천거했다.

평창대회 국제방송센터(IBC) 근무 경력뿐 아니라 광주유니버시아드대회에서 경험을 쌓은 광주 출신의 양수형(25)씨를 믹스드존 책임자로, 수영 국가대표 선수 출신이자 미국에서 커뮤니케이션을 전공한 이지영(29)씨에게 통역을 맡겨 자칫 말썽을 일으킬 수 있는 언론과의 커뮤니케이션을 매끄럽게 조율했다.

이씨는 “아직 대회가 남아 있긴 하지만 평창에서 경험을 쌓았던 멤버들이 한 명이라도 없었더라면 이번 광주대회의 프레스 운영은 절대 불가능했을 것”이라며 “이게 바로 평창이 남긴 ‘인적 레거시(유산)’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몸은 힘들지만 평창대회 당시 만났던 외신 기자들로부터 ‘당신이 광주대회도 맡아 마음이 놓인다’는 말을 들었을 때 가장 기분이 좋다”면서 “평창대회를 통해 성장한 인력들이 앞으로 더 많은 기량을 펼칠 수 있는 기회가 생겼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씨는 최근 2020년 도쿄올림픽 조직위원회로부터 MPC 운영을 맡아 달라는 제의를 받기도 했다는 귀띔도 빼놓지 않았다.

최병규 전문기자 cbk91065@seoul.co.kr
2019-07-25 27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