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똑똑 아시안게임] 군살 빼도 36개… AG ‘종목수 챔피언’

[똑똑 아시안게임] 군살 빼도 36개… AG ‘종목수 챔피언’

입력 2014-09-17 00:00
업데이트 2014-09-17 03:4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42개 종목이 치러진 광저우대회에 비해 인천아시안게임은 36개 종목으로 군살을 뺐다. 그러나 여전히 올림픽(28개)보다 8개 많다. 내년 아제르바이잔 바쿠에서 열릴 제1회 유러피언게임(20개)과 비교하면 16개나 많다.

아시안게임이 처음부터 많은 종목을 치른 것은 아니다. 초대 대회인 1951년 뉴델리에서는 농구·사이클·수영·역도·예술경기·육상·축구 7개 종목만 치러졌다. 제10회 대회인 1986년 서울에서는 27개 종목이 열려 올림픽에 버금가는 규모로 확장됐다.

아시아의 전통과 문화가 숨 쉬는 이색 종목을 만날 수 있는 것은 아시안게임 매력 중 하나. 종전 국제대회에서 볼 수 없었던 생소한 종목이 대거 추가된 것은 1990년 베이징대회부터다. 말레이시아어 ‘세팍’(발로 차다)과 태국어인 ‘타크로’(공)가 합쳐진 합성어로 족구와 유사한 세팍타크로, 술래잡기와 비슷한 인도의 전통 스포츠 카바디, 중국의 전통 무술 쿵후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우슈 등이 정식 종목에 포함됐다.

1994년 히로시마대회에서는 일본의 대표적인 무술 가라데(공수도)가 새로 들어왔고, 2002년 부산과 2006년 도하대회에서는 생활체육 성격이 강한 보디빌딩과 스쿼시가 추가됐다. 아시안게임이지만 서양 장기인 체스가 도하와 광저우 대회 정식 종목으로 치러졌으며, 영국과 호주 등 영연방 국가에서 인기가 많은 크리켓도 광저우에서 도입돼 이번 인천까지 이어졌다.

인천에서는 또 아마 복싱의 상징과도 같았던 헤드기어가 사라지고, 양궁에서는 리커브 외에 컴파운드 종목이 추가되는 등 다양한 변화가 생긴다.

임주형 기자 hermes@seoul.co.kr
2014-09-17 19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