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므로 통신] 부탄·동티모르·몰디브 영광의 첫 메달 따려나

[추므로 통신] 부탄·동티모르·몰디브 영광의 첫 메달 따려나

입력 2014-09-17 00:00
업데이트 2014-09-17 03:4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인천아시안게임 사상 첫 메달 맛을 보게 될 나라는 어디가 될까.

19일 개막하는 인천아시안게임에서는 한국·중국·일본·인도·이란 등 아시아 45개국에서 온 1만명 안팎의 선수들이 36개 종목에 걸린 총 1300개 이상의 메달을 두고 기량을 다툰다. 이 가운데 부탄, 동티모르, 몰디브 등 3개국은 이번 대회에서 아시안게임 첫 메달을 향한 도전을 이어간다.

부탄은 1990년 베이징 대회 이후 이번까지 7차례 연속 참가로 메달 기대감을 높였다. 특히 복싱의 시겔 펍은 2010년 광저우대회 당시 밴텀급(56㎏)에서 5위의 성적을 거둬 조국에 아시안게임 최고 성적을 안긴 주인공이다. 이번에도 부탄은 복싱을 비롯해 양궁, 육상, 골프, 사격, 태권도, 테니스 등에 16명의 선수를 출전시킨다.

특히 양궁은 부탄의 국민 스포츠로, 부탄 양궁대표팀은 올림픽에도 참가한 바 있다.

역시 7번째 출전하는 몰디브는 수영, 육상, 배드민턴, 농구, 크리켓, 축구 등에 143명의 선수를 보냈다. 광저우 대회(82명) 때보다 60여명이나 많다.

강원도 크기의 작은 나라 동티모르도 네 번째로 출전한 이번 아시안게임에 육상, 복싱, 사이클, 축구, 공수도 등에 선수 31명을 파견했다. 2002년 인도네시아로부터 독립한 동티모르는 그 해부터 부산아시안게임 등 각종 국제 행사에 독립국으로 참가했으나 동남아시안게임 외 다른 주요 국제대회에서는 아직 메달이 없다.

한편 아시안게임에서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한 나라는 일본으로, 모두 16차례 참가해 총 2650개의 메달을 손에 넣었다. 중국이 10회 참가해 2553개로 그 뒤를 잇고 있다. 한국은 15회 출전해 1822개로 3위다. 금메달 개수는 중국이 1191개로 일본(910개)에 앞선다. 한국은 617개로 3위다.

아시안게임에서 종합 1위를 차지해 본 국가는 중국과 일본뿐이다.

황비웅 기자 stylist@seoul.co.kr
2014-09-17 19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