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시즌 K리그 ‘홈 어드밴티지’ 변수

올 시즌 K리그 ‘홈 어드밴티지’ 변수

홍지민 기자
홍지민 기자
입력 2020-04-29 18:02
업데이트 2020-04-30 10: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7라운드로 축소… 홈 경기수 불균형

파이널A·B 상위팀, 한 경기 더 치러
홈 경기 승률, 원정보다 8.4%P 높아
이미지 확대
‘홈 스위트 홈.’

다음달 8일 개막하는 프로축구 K리그는 그 어느 시즌보다 홈 어드밴티지가 리그 판도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전망이다. 코로나19로 인한 지연 개막으로 2020시즌이 기존 38라운드가 아닌 27라운드 체제로 축소되며 일부 팀이 홈 경기를 더 치르는 유리한 조건에 놓이기 때문이다.

29일 한국프로축구연맹에 따르면 2020시즌 K리그1(1부 리그·12개 팀)의 경우 정규 22라운드에 파이널 5라운드로 꾸려진다. 우선 각 팀이 나머지 11개 팀과 안방과 원정을 한 번씩 오가며 10월 초까지 22라운드를 진행한다. 이후 이때까지의 성적을 바탕으로 파이널A(상위 6개팀)와 파이널B(하위 6개팀)로 쪼개져 각각 5라운드를 치른다. 이때 홈 앤 어웨이의 불균형이 발생하는데, 파이널A와 파이널B의 상위 3개팀이 홈 경기를 3번, 원정 경기를 2번 치르는 어드밴티지를 갖는다. 반대로 하위 3개팀은 홈 경기를 2번, 원정 경기를 3번 치러야 한다.

챔피언 타이틀과 다음 시즌 아시아축구연맹(AFC) 챔피언스리그 진출, 그리고 강등 여부를 놓고 치열한 순위 다툼이 펼쳐지는 리그 막바지에 홈 경기를 한 번 더 치를 수 있다는 것은 상당한 이점이 아닐 수 없다.

홈 팬들의 열렬한 응원, 익숙한 라커룸과 그라운드의 잔디 상태, 장거리 이동에서 자유롭다는 점 등이 홈 팀의 경기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것은 통계적으로도 뒷받침되는 사실이다.

프로축구연맹이 지역 연고제가 정착된 1987년부터 지난 시즌까지 모든 경기를 따져 봤더니 각 구단의 홈 경기 승률 평균은 54.2%로, 원정 경기 승률 45.8%보다 8.4% 포인트가 높았다. 특히 1998시즌 홈 경기 승률은 59.8%로 60%에 육박했다. 구단별로는 수원 삼성이 승률 64%로 홈에서 극강의 모습이었고, 전북 현대(61.8%), 울산 현대(60,2%)가 뒤를 이었다.

홍지민 기자 icarus@seoul.co.kr
2020-04-30 22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