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병규 기자의 헬로 남아공] ‘시끌벅적’ 요하네스버그공항… 축구공 아래 인종전시장

[최병규 기자의 헬로 남아공] ‘시끌벅적’ 요하네스버그공항… 축구공 아래 인종전시장

입력 2010-06-07 00:00
업데이트 2010-06-07 0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야트막한 구릉들을 빼면 거의 평원이나 다름없는 넓디넓은 땅이 이제 막 떠오르는 태양빛을 받아서일까. 비행기에서 내려다본 요하네스버그 주변은 온통 붉은색으로 물들어 있었다.

지금은 흑인들의 우범지대로 몰락했다던 요하네스버그의 OR탐보국제공항에 홍콩발 비행기가 도착한 건 5일 오전. 이른 아침 시간인데도 공항은 시끌벅적했다. 천장에 매달린 커다란 축구공, 그리고 아프리카연합(United Africa)이라는 글과 함께 세 명의 흑인 축구선수 사진이 드리워진 공항 입국장 전경. 그 아래에서 부지런히 오가고 있는 각양각색의 사람들. 레코드 가게에서 흘러나오는 레게풍의 음악에 맞춰 몸을 흔드는 흑인들, 히잡을 둘러 쓰고 남아공월드컵 마스코트인 자쿠미를 쳐다보며 까르르 웃어대는 아랍계 여성들. 포르투갈 깃발을 펄럭거리며 누구보다 당당히 입국장으로 들어서는 반바지 차림의 사진가.

요하네스버그공항은 마치 인종전시장을 방불케 했다. 그렇지만 분명 삶이 살아 있는, 흥겨운 풍경이었다. 축구공 아래 모인 사람들. 검은 대륙 아프리카에서 처음 열리는 제19회 월드컵축구대회는 이미 시작된 듯했다.

지난해 국내에서도 개봉한 ‘우리가 꿈꾸는 기적’이라는 영화가 요하네스버그행 비행기 안에서 상영됐다. 유명 흑인 배우 모건 프리먼이 넬슨 만델라로 분한 영화다.

영화에서 만델라는 흑과 백의 극단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럭비’라는 매개체를 사용한다. 남아공을 대표하는 스포츠다. 그런데 럭비는 백인만의 전유물이었다. 그는 자국 선수들 대신 라이벌 영국을 응원하던 흑인들을 보고는 반드시 1년 뒤엔 영국을 이겨 달라고 백인 주장에게 손을 내민다.

역시 1950년대 미 해군 잠수부의 실화를 배경으로 한 기내 영화 ‘명예로운 사람’(Man of Honor)’이라는 영화에서 실제 주인공인 흑인 칼 브래셔로 분한 쿠바 쿠딩 주니어는 자신의 다리 하나를 잃어가며 미 해군 최초의 심해 잠수사가 되는 꿈을 일궈 낸다.

‘처음’이라는 단어는 많은 고통을 동반한다. 30년 전 흑백분리주의(아파르트헤이트)를 물리치고 처음 하나 된 남아공을 만든 만델라 전 대통령이나 첫 흑인 잠수사가 되기 위해 자신의 다리 하나를 맞바꾼 브래셔나 경우는 같다. 둘은 모두 비흑인이 독차지했던 불평등한 소유를 평등하게 만든 사람들이다. 지금 요하네스버그공항에서 벌어지는 흥겨움은 흥겨움대로 즐기되 ‘평등’이라는 흔하디흔한 말도 한번쯤은 되새겨 볼 일이다.

요하네스버그 cbk91065@seoul.co.kr

사진 요하네스버그 안주영기자 jya@seoul.co.kr
2010-06-07 16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