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보다 우리”… 붉은 나눔축제

“나보다 우리”… 붉은 나눔축제

입력 2010-06-23 00:00
업데이트 2010-06-23 01: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월드컵 新풍속도]<5> 달라진 응원문화

대바늘이 자꾸 빠졌다. 40대 남성이 올 풀린 털실 수세미를 들고 멋쩍게 웃었다. “에고, 뜨개질 힘드네. 그래도 축구공 같죠. 허허.” SK텔레콤 자원봉사단체 ‘행복나눔터’ 회원인 조덕근(40)씨. 월드컵 기간을 맞아 조씨를 비롯한 행복나눔터 회원들은 지난 16일 서울 관악구 자원봉사센터에 모여 지역내 기초생활수급자 등에게 선물할 친환경 수세미와 비누를 만들었다. 이밖에도 월드컵 기간 중에 관심의 사각지대에 놓일 수밖에 없는 소외계층을 찾아다니며 봉사활동을 펴고 있다. 18일에는 서울 강북구 미아동 소년소녀가장에게 사랑의 도시락을 배달했다. 25일엔 농촌지역 집수리 봉사에 나선다.

이들에게 월드컵 응원 봉사는 ‘기본’이다. 12, 17일에는 반포지구 플로팅아일랜드에 모여 질서안내를 맡았다. 응원이 끝난 후에는 쓰레기도 모았다. 조씨는 “2002년 때 단순히 거리 청소를 하는 것에 머무는 게 안타까웠다.”면서 “소외된 계층과 함께 전 국민이 하나된 월드컵을 즐기는 게 진정한 스포츠 정신”이라며 활짝 웃었다. 대학과 직장 봉사단체들이 월드컵 시즌을 맞아 소외된 이웃들에게 사랑을 전달, 온기를 자아내고 있다. 2002년 월드컵 때 화제가 됐던 거리응원 청소에서 더 나아가 이웃사랑까지 실천, 전 국민이 함께하는 ‘더불어 월드컵’을 구현했다는 평가다.

대학생들도 가세했다. 전국대학생봉사동아리 ‘다홍’ 회원 200여명은 각자의 특기를 살린 월드컵 봉사에 나서고 있다. 월드컵을 일주일가량 앞둔 지난 5일에는 홍익대 인근의 낙서투성이 벽에 나무가 우거진 모습의 벽화를 그려 넣었다. 김새미 다홍 홍익대 회장은 “나이지리아전에는 페이스페인팅 봉사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홍은 이번 월드컵 기간 중에 모인 기부금을 소외계층에 전달하기로 했다. 또 악기를 다루는 학생들은 월드컵 거리응원이 힘든 노인과 장애인 등을 위해 복지관·고아원 등을 찾아 음악공연도 펼칠 예정이다. 현대자동차도 장애인들을 위해 지난 12일 왕십리역 광장에서 장애인 500명과 함께하는 응원전을 열어 눈길을 끌었다.

이 같은 현상에 대해 한상진 서울대 사회학 교수는 “월드컵을 전 국민의 축제로 만들기 위해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나서는 ‘진화된 공동체적 정신’”이라고 말했다.

백민경기자 white@seoul.co.kr

2010-06-23 7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