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만원 내면 불참이 예의?” 고물가에 하객들 눈치…결혼식 ‘축의금’ 논란

“5만원 내면 불참이 예의?” 고물가에 하객들 눈치…결혼식 ‘축의금’ 논란

김민지 기자
김민지 기자
입력 2024-05-17 15:51
업데이트 2024-05-17 16: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결혼식 자료 이미지. 아이클릭아트
결혼식 자료 이미지. 아이클릭아트
물가가 오르고 결혼식 형태가 다양해지면서 축의금 액수를 고민하는 이들이 많아지고 있다. 온라인상에서는 ‘축의금 문화’와 관련된 논쟁이 끊이지 않는 가운데 최근 ‘식대 이하’ 축의금을 낼 거면 참석하지 않는 게 예의라는 주장마저 나오고 있다.

지난 16일 아시아경제에 따르면 서울 시내 웨딩홀의 평균 예식 비용은 8만원 안팎으로 책정돼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업체별로 최소 6만 6000원에서 최대 10만 8000원까지 가격대가 벌어졌고, 성수기(통상 3~6월, 9~11월)와 비수기(12~2월, 7~8월) 사이에는 17%가량 차이가 났다. 모두 일반적인 축의금 기준인 5만원은 훌쩍 넘어섰다.

호텔 웨딩홀은 이보다 식대가 훨씬 비싸다. 저렴한 곳은 13만원 정도였지만 비싼 곳은 식대가 20만원에 달했다. 여기에 홀 대관료와 꽃값 등을 합하면 결혼식 한 번에 수천만원이 들어가는 셈이다.

이러한 결혼 비용은 10년 전과 비교하면 배 가까이 급등한 것이다. 한국소비자원이 2013년 발간한 ‘결혼 비용 실태보고서’에 따르면 당시 기준 1인 식대는 3만 3000원, 대관료(꽃장식 포함)는 300만원이었다.

웨딩비용 급증은 물가 상승과 예식장 업체 감소가 맞물리며 나타난 현상으로 분석된다. 특히 코로나 팬데믹 시기 동안 결혼식이 급감하며 중소 규모 예식장이 대거 폐업했고, 남은 예식장에 신혼부부들이 몰리며 가격이 올랐다.

예식 비용의 증가는 예비부부뿐만이 아니라 하객들에게도 부담이 되고 있다. 적정한 축의금 액수가 얼마인지가 최대 고민이다.

과거에는 3만~5만원 선에서 축의금을 해결하는 게 일반적이었지만, 최근에는 고물가 시대에 맞춰 축의금도 더 내야 하는 게 아니냐는 고민이 적지 않다.

급기야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는 ‘축의금 5만원을 낼 거면 참석하지 않는 게 예의’라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이른바 ‘참석하면 10만원, 불참하면 5만원’이라는 인식이다.

“봉투만 5만원, 참석 땐 10만원, 호텔 예식은 15만원”
대한민국의 보통 사람은 결혼식에 가지 않고 봉투만 보낸다면 5만원을, 직접 참석한다면 10만원을 축의금으로 낸다는 응답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결혼식 장소가 호텔이라면 식사 비용을 고려해 15만원 이상을 낸다는 사람도 많았다.

지난달 17일 신한은행은 지난해 10~11월까지 전국 만 20~64세 경제활동자 1만명을 대상으로 이메일 조사를 통해 얻은 설문 결과를 토대로 ‘보통사람 금융생활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인의 결혼식에 가지 않는다면 축의금으로 5만원을 낸다는 사람이 전체의 52.8%로 가장 많았다. 이어 10만원을 낸다고 답한 사람은 36.7%, 20만원이 3.3% 순이었다.

결혼식에 직접 참석하는 경우는 10만원을 낸다는 의견이 67.4%로 가장 많았다. 이어 5만원이 16.9%, 20만원이 8.6%, 15만원이 1.5% 순이었다.

봉투만 보내는 경우 평균 축의금은 8만원이었고, 결혼식에 참석하는 경우에는 11만원이었다. 결혼식 장소가 호텔이라면 평균 축의금은 12만원으로 올랐다.

호텔 결혼식에서 축의금으로 10만원을 낸다는 응답이 57.2%로 가장 많았고, 20만원을 낸다고 응답한 비중도 15.6%에 달했다. 반면 5만원을 낸다는 응답은 10.8%에 불과했다. 평균 7~8만원에 달하는 호텔 식대를 고려해 축의금을 더 내는 것으로 보인다.
김민지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