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조 규모 UAE 원전PF 그림의 떡?

10조 규모 UAE 원전PF 그림의 떡?

입력 2010-02-16 00:00
업데이트 2010-02-16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0조원 규모로 단일 프로젝트 사상 최대액이 될 아랍에미리트연합(UAE) 원전 프로젝트파이낸싱(PF)에 국내 은행이 참가해 수혜를 입을지 관심을 모으고 있다. 거액의 달러를 빌려 20년 이상 장기 대출을 해주는 사업구조상 국내 은행이 PF에 참가해 봐야 수지타산이 맞지 않을 수 있다는 얘기도 있다. 일각에서는 외국 대형 은행들의 잔치가 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한다.

이미지 확대
15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은행 등이 원전 사업에서 돈을 벌 수 있는 방법은 원전사업 참여회사 등에 돈을 빌려 주는 것이다. 가장 큰 파이는 원전 건립을 위해 설립되는 특수목적회사(SPV)에 돈을 빌려 주는 대주단(자금을 공동으로 빌려 주는 금융회사단)의 일원이 되는 것이다.

지난해 한전이 따낸 UAE 원전 수주 규모는 186억달러 정도. 원전 수출국의 신용기관(EOA)이 수주금액의 50%가량 지원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한국수출입은행 등이 다룰 금융규모만 90억달러가량 된다. 국내외 금융사들이 수출입은행 등을 통해 대주단에 들어가기 위해 안달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외국 대형은행들 잔치될 수도

은행권에서는 국내 은행이 대주단의 일원이 되더라도 수혜는 크지 않을 것이라고 말한다. SPV의 신용도가 좋아 돈 떼일 염려는 줄어들지만 이윤이 적기 때문이다. 적어도 원전 SPV의 신용도는 AA(UAE)~A(한국) 사이에서 결정될 가능성이 크다.

대출이 달러로 이뤄져야 하는 것도 국내 은행으로서는 부담이다. 국내 은행은 미국 은행은 물론 일본과 프랑스 등 대형 상업은행에 비해 조달비용이 높을 수밖에 없다. 시중은행 PF 대출 관계자는 “욕심이 나지만 대형 외국은행과 조달비용 차이가 2~3% 포인트가량 나기 때문에 조달비용 면에서 보면 국내 은행은 경쟁력이 없다.”고 말했다.

실제 채권을 1억달러어치 발행할 때 가산금리가 연 1% 포인트라면 연간 100만달러의 이자가 추가된다. 즉 경쟁 은행의 대출 조건에 맞춰 돈을 빌려 줬다가는 큰 역마진이 날 수 있다.

여기다 원전사업은 20년 이상 장기 프로젝트다. 20년짜리 대출을 하려면 국내 은행은 해외에서 최소 10년짜리 채권을 발행해야 한다. 하지만 외화 장기 대출은 해본 적도 없고, 해줄 곳도 마땅치 않다. 또 다른 은행 관계자는 “현재 국내 은행의 해외장기채권은 최대 5년 정도인데 이를 10년간 빌려 주면 금리의 미스매치가 날 수 있는 상황”이라면서 “자칫 일개 시중은행이 감당하기 힘든 수준이 될 수도 있다는 걱정이 있다.”고 우려했다.

●금융권 “기회 놓치지 말아야” 목소리도

이 때문에 국내 시중은행에게 원전 PF 대출은 욕심은 나지만 손이 닿지 않는 신포도라는 이야기가 나온다. 일각에서는 큰 파이를 차지하는 것은 일본의 3대은행과 프랑스 BNP파리바 등이 될 것이라고 예상한다. 금융권 관계자는 “이 같은 대형 프로젝트의 대주단으로 참가한다는 것은 수백억원을 주고도 살 수 없는 기회와 경험을 잡는 것”이라면서 “국내 시중 은행들이 장기적으로 수입원을 창출하기를 원한다면 손해를 감수하고도 경험을 쌓겠다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유영규 김민희기자 whoami@seoul.co.kr
2010-02-16 8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