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적으로 넣는 적립식 투자 이제 그만”

“기계적으로 넣는 적립식 투자 이제 그만”

입력 2010-04-29 00:00
업데이트 2010-04-29 10:1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A씨는 급여가 나오는 23일에 10만원씩 10년간 쉬지 않고 국내 주식형펀드에 적립식투자를 했다.같은 회사에 다니는 B씨는 급여일 외에도 증시가 1% 하락하면 다음날 10만원씩 더 넣었다.같은 기간 투자 수익률,누가 더 좋을까.답은 B씨다.

 A씨는 2000년 초부터 1천190만원을 넣어 2009년 말 2천183만원으로 불렸다.투자 수익률은 83.5%.

 B씨는 5천780만원의 투자금이 1억1천340만원으로 늘어났다.수익률은 96.2%로,A씨가 하는 일반 적립식 대비 12.7%포인트 추가 수익률을 올릴 수 있었다.

 B씨가 만약 추가 불입 기준을 1% 하락이 아닌 2%,3% 하락으로 잡았다면 수익률은 각각 105.7%,112.0%로 더 커진다.더 능동적으로 1% 이상 하락시 10만원,2% 이상 하락시 20만원,3% 이상 하락시 30만원을 투자하는 체증식을 적용했다면 수익률은 101.0%였다.

 29일 동양종금증권은 “일반적인 적립식 투자에 비해 하락률을 이용한 새로운 투자대안 모두가 적게는 13%포인트에서 많게는 29%포인트 정도의 수익률 갭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조병준 스트래티지스트는 “2000년 초부터 2009년 말까지 10년 동안 2천470일간의 거래일 중에서 많이 오른 열흘,많이 내린 열흘을 제외하고 일간 수익률을 누적해봤더니 두 경우의 차이가 무려 321.8%포인트에 달했다”며 “급등한 열흘에 투자하지 못한 것보다 급락한 열흘을 피하는 것이 수익률에 훨씬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이에 착안해볼 때 많이 하락한 다음날 바로 추가 불입하면 펀드 수익률을 끌어올릴 수 있을 것이라는 예상이 분석 결과 맞아 떨어진 것이다.

 그러나 펀드를 10년간 투자하는 사람이 많다.

 투자 기간을 더 짧게 간다고 가정하고 상승과 하락 국면으로 나눠 살펴봐도 일반 적립식보다는 하락률을 활용한 적립식이 더 좋았다.

 하락 후 상승 국면(2000년 1월1일~2002년 4월18일,2002년 4월18일~2004년 4월23일),상승 후 하락 국면(2001년 9월27일~2003년 3월17일)에서는 2% 이상 하락시 추가 투자하는 경우의 수익률이 가장 좋았다.상승 국면(2003년 3월17일~2007년 10월31일,2008년 10월27일~2009년 12월31일)이나,하락 국면(2007년 10월31일~2008년 10월27일),하락 후 상승 국면(2007년 10월31일~2009년 12월31일)에서는 3% 이상 하락시 투자하는 방식이 가장 우수했다.

 국면과 관계 없이 1년 수익률로만 봐도 2005년,2007년만 빼고는 하락률을 이용한 투자가 일반 적립식보다 수익률이 모두 좋았다.

 조 스트래티지스트는 “지난 10년간의 분석 결과로 도출된 결론은 전체 투자 수익률은 아주 짧은 기간의 성과에 크게 연동됐다는 것”이라며 “주식시장의 방향성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고 지속적인 상승이 예상될 경우를 제외하고 상승과 하락이 반복되는 변동성 위험을 극복하고 적절한 투자시점을 놓치지 않기 위해서는 하락률을 활용한 적립식 투자가 새로운 대안으로 제시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일반 투자자는 본인의 투자자금 등의 제반사항을 고려해 투자기간을 설정한 후 일반 적립식투자와 함께 2~3% 이상 증시가 하락할 때 추가 투자하는 방식을 적용한다면 기존보다 우수한 성과를 얻을 수 있다”고 조언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